1. 체계적 둔감법(systematic desensitization)
체계적 둔감법은 Joseph Wolpe에 의해 개발된 절차로, 두려움이 있는 사람이 두려움을 야기하는 자극을 상상하면서 이완을 연습한다. 공포(phobia)는 불안 수준이나 도피와 회피행동이 개인의 삶을 파괴할 수 있을 만큼 심각한 두려움이다. Wolpe는 치료자가 어떤 사람에게 불안을 야기하는 장면을 점차 상상하면서 이완하도록 하는 방법에 의해 두려움을 감소시킬 수 있다고 단정했다. 예를 들어, 체계적 둔감법에서 앨리슨은 자신을 이완시키고 치료자가 25피트 떨어진 곳에 거미가 있는 장면을 묘사하는 것을 듣는다. 이 장면을 듣고 나서 이오나 상태가 유지되면 치료자는 거미가 20피트 떨어져 있는 장면을 묘사한다. 앨리슨이 계속 이완 상태를 유지하면 치료자는 거미가 점점 더 가까이 있는 것을 묘사할 것이다. 앨리슨에게 중요한 것은 두려움을 유발하는 자극을 상상하면서도 이완반응을 유지하는 것이다. 이완반응이 두려움 발생을 억제하거나 방지하기 때문에 Wolpe는 이 과정을 상호억제(reciprocal inhibition)이라고 불렀다.
체계적 둔감법 절차의 사용에는 중요한 세 단계가 있다.
⑴ 내담자는 앞서 기술된 절차들 중 하나르 사용하는 이완 기술을 학습한다.
⑵ 치료자와 내담자는 두려움을 유발하는 자극의 위계표를 만든다.
⑶ 내담자는 치료자가 위계표에 따라 장면을 묘사하는 동안 이완 기술을 연습한다.
내담자가 위계표에 따라 모든 장면을 상상하는 동안 이완반응을 유지할 수 있으면 체계적 둔감법을 마치게 된다. 그러면 내담자는 실제 삶에서 두려움을 야기하는 자극과 직면하더라도 두려움 반응(불안과 회피행동)에서 벗어나게 된다.
2. 실제 상황 둔감법(in vivo desensitization)
실제 상황 둔감법은 내담자가 실제 두려움을 듀발하는 자극에 점진적으로 접근하거나 점진적으로 노출된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체계적 둔감법과 유사하다. 실제 상황 둔감법 절차를 사용하기 위해서 내잠자는 우선 이완반응을 배워야 한다. 다음으로 내담자와 치료자는 우려움을 유발하는 자극을 포함한 위계표를 만든다. 실제 상황 둔감법에서 내담자는 위계표의 각 장면을 상상하지 않는다. 그 보다는 두려움 반응 대신 이완을 유지하면서 각 위계 상황을 경험한다. 예를 들면, 라이트 박사는 먼저 앨리슨에게 이완하는 것을 가르쳤다. 다음으로 그들은 두려움을 유발하는 상황 위계표를 만들었다. 앨리슨의 위계표는 거미에 대한 거리를 포함한다. 그녀의 두려움은 거미에게 가까이 갈수록 커진다. 실제 상황 둔감법을 시작하기 위해 앨리슨은 거미로부터 멀리 떨어진(20피트) 곳에 서서 자신을 이완시킨다. 이 상황은 두려움을 거의 초래하지 않고, 그녀는 경험할 수 있는 두려움을 대신하여 이완을 한다. 앨리슨은 위계표의 한 단계 위로 이동한다. 거미로부터 19피트 떨어진 곳에서 다시 이완 연습을 하여 두려움 대신에 이완을 한다. 라이트 박사의지지 속에서 앨리슨은 이 과정을 위계표의 마지막, 거미를 죽이는 단계까지 반복한다.
3. 홍수법(flooding)
홍수법은 긴 시간 동안 아주 강한 두려운 자극에 노출되는 절차이다. 처음에 두려운 자극 앞에서 높은 불안을 경험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수동적 소거(respondent extinction의 과정을 통해 불안 수준이 감소한다. 예를 들어, 개에 대한 두려움이 있는 사람은 (치료자와 함께) 방에 앉아 긴 시간 동안 개와 함께 있게 된다. CS(개, 두려운 자극)가 시간이 지나도(2시간) US(물리거나 놀라게 되는 것) 없이 존재하기 때문에 긴 CS는 더 이상 CR(불안)을 야기하지 않는다. 홍수법은 전문가에 의해서만 수행되어야 한다. 사람이 처음에 두려운 자극에 노출되면 두려움으로 인해 매우 불안해지기 때문에 홍수법 절차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회피할 수 있고 두려움이 더 악화될 수 있다. 실제 상황 둔감법에서는 훨씬 점진적으로 자극에 노출되므로 홍수법의 초기 단계에서 경험하는 불편함이 없다.
4. 모델링(modeling)
모델링은 특히 아동의 두려움에 대한 성공적인 치료법이다. 모델링 절차에서 아동은 다른 사람이 두려운 자극에 접근하거나 두려운 활동에 참여하는 것을 관찰한 후에 유사한 행동을 더욱 쉽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두려움을 가진 사람이 실제 모델을 관찰하거나 영화 또는 비디오 모델을 볼 수 있다. 영화나 비디오 모델링 절차는 아동이 수술이나 다른 의학적 치료, 치과 치료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는 데 널리 사용되어 왔다.
※ 체계적 둔감법과 실제 상황 둔감법의 장단점
실제 상황 둔감법의 장점은 내담자로 하여금 실제로 두려운 자극과 접촉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내담자는 위계표에 따라 두려움을 유발하는 상황에서 성공적인 수행을 보여 준다. 그러나 실제 상황 둔감법의 단점은 체계적 둔감법보다 어렵고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든다. 이는 치료자가 위계표에 따라 두려움을 야기하는 상황을 실제로 준비해야 하기 때문이다. 치료자는 실제 두려움을 유발하는 자극에 내담자를 노출시키기 위해 자신의 사무실을 떠나 내담자와 동행해야 한다. 어떤 경우에는 두려움을 유발하는 자극과 접촉하는 것을 준비하기가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어떤 곳에서는 겨울에 거미를 구할 수 없다. 그러나 가능하다면 실제 상황 둔감법이 체계적 둔감법보다 선호된다. 왜냐하면 상상 속에서가 아니라 실제 생활에서 성공적인 행동을 부여 주고 성공적 행동이 강화되어 실제 상황에서 그 행동이 강해지기 때문이다. 체계적 둔감법의 장점은 내담자가 두려운 자극을 상상하기 때문에 그것과 직접 접촉하는 것보다 쉽고 용이하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비행 두려움을 가진 내담자가 있다면 치료자는 비행기 안, 지상에 있는 비행기 안, 공중에 있는 비행기 안에 있는 장면을 묘사할 수 있다. 두려운 자극과 실제적인 접촉을 하는 것은 시간이 더 많이 들고 더 어려울 것이다. 그러나 체계적 둔감법의 단점은 결과가 실제 두려움 유발 상황에서 완전하게 일반화될 수 없다는 것이다. 내담자가 두려움을 유발하는 상황을 상상하면서 이완을 유발하는 상황을 상상하면서 이완을 유지한다 하더라도 실제 상황에서는 그렇지 못할 수 있다. 체계적 둔감법의 결과를 성공적으로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실제적 두려움 유발 상황에서 내담자의 두려움을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체계적 둔감법의 결과가 충분히 일반화되지 못한다면 체계적 둔감법의 효과를 증진시키고 일반화하기 위해 실제 상황 둔감법을 부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교육학의 정수 > 교육심리학의 정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격유형검사(MBTI)에 대하여 (0) | 2023.12.24 |
---|---|
자기 결정성 이론 - 데시&라이언(Edward Deci, Richard Ryan) (0) | 2023.12.24 |
차별강화 (0) | 2023.12.24 |
용암법(FADE-OUT) (0) | 2023.12.24 |
행동 유발 원인 요소 간의 관계 모형 - 하이더(HEIDER) (0) | 2023.12.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