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학의 정수/생활지도 및 상담의 정수 썸네일형 리스트형 전략적 가족치료(지시기법, 역설적 개입) - 헤일리(HALEY) 역설적 개입방법은 전략적 가족치료 기법에 속한다. 문제 행동을 변화시키는 전략들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이다.. 문제의 이해보다는 치료와 변화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이라 할 수 있다. 전략적 치료의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은 바로 지시기법이다. 지시는 다시 직접적 지시와 역설적 지시로 나누는데 역설적 지시란 곧 역설적 개입 방법을 의미하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역설적 개입의 대표적 방법으로는 증상처방과 변화제지가 있다. 이 둘은 서로 상반된 의미라 이해할 수 있다. 증상처방은 일부러 문제행동을 더 하라고 지시함으로써 이런 상담자의 지시에 대해 클라이언트의 저항을 유도하여 반대로 그런 행동을 하지 않게끔 하는 것이고, 변화제지는 그렇게 상담자에게 저항의 심리로 일어난 변화행동을 .. '공감적 이해, 반영, 심층적 공감'의 차이 1. 공감적 이해(empathic understanding) : 공감 삼담자의 입장에서 내담자의 사고, 느낌, 경험, 행동 등 내담자의 세계를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음을 내담자에게 전하는 능력을 말한다. 이를 위해 공감하는 상담자는 내담자가 표현할 말 뿐 아니라 그 밑에 깔려 있는 중요한 감정, 태도, 신념 및 가치 기준을 포착하여야 하며, 이를 내담자에게 의사소통하여야 한다. 이때 내담자는 '상담자는 내가 어떻게 느끼는가를 알고 있다'고 지각하게 된다. A : 여자 친구와의 만남 이후로 저의 생활이 혼란스럽습니다. 너무 많고 빠른 변화로 인해 무엇을 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B : 지금 경험하는 변화에 대해 불편함을 느끼고 있군요 2. 감정의 반영(reflection) : 반영 반영이란 집단원의 느낌.. 정서지능 정서지능이라는 용어는 1990년 미국 뉴햄프셔 대학의 John Mayer교수와 예일 대학의 Peter Salovey 교수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이들은 정서지능을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할 줄 아는 능력,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줄 아는 능력 그리고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성취하기 위해서 그런 정서를 이용하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 후 타임지가 1995년에 Daniel Goleman의 저서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을 소개하면서, IQ에 대응하여 정서지능을 설명하기 위해 정서지수(Emotional Quotient : EQ)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후의 보다 큰 만족을 위해 현재의 만족감을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 충동.. 공격성의 유형 1) 우연적 공격성 의도하지 않게 타인에게 피해를 준 경우이다. 정글짐을 오르다가 친구 손을 밟는 것이 그 예이다. 2) 표현적 공격성 누군가에게 의도하지 않은 불행을 주는 것에서 비롯된 재미있고 탐색적인 신체적 행동이다. 태권도로 친구가 쌓은 탑을 무너뜨리고 즐거워하기가 그 예이다. 3) 도구적 공격성 자신이 원하는 것을 덛고 어떤 것을 지키기 위해서 의도치 않게 타인에게 피해는 주는 경우로, 공격성이 목적은 아니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난다. 장난감을 서로 가지려고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친구의 눈을 찌르는 것이 그 예이다. 4) 적대적 공격성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거나 협박해서 힘을 얻고자 하는 고의적인 행동이다. 소문이나 거짓말 퍼트리기이다. 갈등중재모델(CONFLICT MEDIATION MODEL) - 코스텔닉 갈등 중재 모델의 목적은 어린이들이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명령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그들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하는 데 있다. 아이들은 스스로 공격성을 줄이고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들은 그들이 제안하는 해결책을 늘려나가고 나아가 협상의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시간을 줄여나가게 된다. 1) 1단계 : 중재 과정의 시작(Initiate the Mediation Process) 먼저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중재자의 역할을 가정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는 아이들이 공격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막고서는 그들을 분리시켜 놓으면서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해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시각에서 사안을 보는 것이다. 아이들 중간에 있으면서 좀 더 객관적인 방법으로 문제 ..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