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

관찰연구 1. 관찰 대상 표집방법 1) 시간 표집법 관찰할 시간을 설정하여 그 시간 동안 발생하는 특정 행위나 사건을 주기적으로 기록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10분 단위로 관찰하다가 10분간 쉬고 다시 10분간 관찰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행위를 통하여 특정 행동의 출현 여부와 순서를 파악하게 된다. 2) 사건표집법 시간간격 단위가 아니라 특정 행동 자체가 관찰의 대상이다. 즉 자주나 드믈게 일어나는 행동 자체가 관찰의 대상이 되는데 이때 서술식으로 표집하든지 빈도식으로 표집하든지 무엇이든 가능하다. 다만 이때 유의해야 할 점은 관찰의 과정에서 관찰할 행동에 대해서 분명하게 조작적 정의를 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에 더불어 언제, 어디서 관찰할 것인지도 확인해 둘 필요가 있다. 2. 관찰기록 방법 1) 일화기록..
교직 단체 - 교원 단체, 교원 노조 1) 교직단체를 보는 관점 ‘교직단체’는 교원의 권익과 복지향상을 추구하고, 전문성을 향상하는 등 공동의 목표를 추구하는 교원 집단을 의미한다. 교직단체는 ‘교직’이라는 개념과 ‘단체’라는 개념으로 나누어 볼 수 있으며, 교직에 대한 관점에 따라 교원의 직업적 성격과 교원의 역할 규정이 달라질 수 있다. 교직을 보는 관점의 바탕에는 교육에 대한 가치관, 즉 교육 가치관이 자리 잡고 있다. 교육과 인간에 대한 기본적인 가정의 차이, 교육의 가치가 그 안에 포함되어 있다는 내재주의와 교육을 다른 가치의 수단으로 보는 수단주의의 차이, 교육의 효율성을 강조하는 효율주의와 교육의 형평성을 강조하는 평등주의의 차이, 단기적 관점과 장기적 관점 등 교육 가치관에 따라 교직을 보는 관점이 정해진다고 할 수 있다. 교..
방어기제 - 안나 프로이드 (1) 개요 ① 방어기란 인간이 경험하는 다양한 불안에서 자아(Ego)를 보호하려는 심리적 기제이다. 인간은 삶과 죽음에 관련된 실존적 불안에서부터 자신의 마음속에 부정적 감정을 가지고 있는 것에 대한 불안, 그런 감정을 표현하는 것에 대한 불안, 타인의 공격과 위협에 대한 불안 등 다양한 불안을 느끼는데, 이러한 많은 불안을 견디기가 어렵기 때문에 인간은 자신 나름대로의 심리적 기제를 발달시킨다. 그리고 이러한 심리적 기제가 굳어졌을 때 그것은 성격의 일부를 형성하기도 한다. ② 방어기제는 그 자체로는 부적응이라고 할 수 없고 상황에 맞지 않거나 너무 고착된 형태로 사용될 때에만 부적응적인 것이라고 보아야 한다. ③ 방어기제에 대한 이해는 정신분석적 상담이나 인간의 정서적 변화를 꾀하는 상담에 많은 것..
발달과업 - 해비거스트(Havighurst) ⑴ 영아기 및 유아기의 발달과업 ① 보행을 배운다. ② 딱딱한음식 먹기를 배운다. ③ 말을 배운다. ④ 배설통제를 배운다. ⑤ 성차를 알고, 이에 따른 성예의를 배운다. ⑥ 생리적 안정을 유지하는 것을 배운다. ⑦ 사회적이고 자연적인 현실에 대한 간단한 개념이 형성된다. ⑧ 부모와 형제 및 자매 그리고 타인과의 정서적 관계를 배운다. ⑨ 선악을 판단할 수 이쓰며 양심이 발달한다. ⑵ 아동기의 발달과업 ① 일상적인 활동에 필요한 신체적인 기능을 습득한다. ② 성장하는 유기체로서, 자기 자신에 대한 건전한 태도를 형성한다. ③ 같은 연령의 친구와 사귀는 것을 배운다. ④ 남자나 여자로서 적절한 사회적 역할, 즉 성역할을 배운다. ⑤ 읽기, 쓰기, 셈하기의 기본적인 기수를 배운다. ⑥ 일상생활에 필요한 개념이..
정서지능 정서지능이라는 용어는 1990년 미국 뉴햄프셔 대학의 John Mayer교수와 예일 대학의 Peter Salovey 교수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이들은 정서지능을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할 줄 아는 능력,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줄 아는 능력 그리고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성취하기 위해서 그런 정서를 이용하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 후 타임지가 1995년에 Daniel Goleman의 저서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을 소개하면서, IQ에 대응하여 정서지능을 설명하기 위해 정서지수(Emotional Quotient : EQ)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후의 보다 큰 만족을 위해 현재의 만족감을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 충동..
공격성의 유형 1) 우연적 공격성 의도하지 않게 타인에게 피해를 준 경우이다. 정글짐을 오르다가 친구 손을 밟는 것이 그 예이다. 2) 표현적 공격성 누군가에게 의도하지 않은 불행을 주는 것에서 비롯된 재미있고 탐색적인 신체적 행동이다. 태권도로 친구가 쌓은 탑을 무너뜨리고 즐거워하기가 그 예이다. 3) 도구적 공격성 자신이 원하는 것을 덛고 어떤 것을 지키기 위해서 의도치 않게 타인에게 피해는 주는 경우로, 공격성이 목적은 아니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난다. 장난감을 서로 가지려고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친구의 눈을 찌르는 것이 그 예이다. 4) 적대적 공격성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거나 협박해서 힘을 얻고자 하는 고의적인 행동이다. 소문이나 거짓말 퍼트리기이다.
다중지능이론 - 스펙트럼 프로젝트 스펙트럼 프로젝트는 어린 아이의 지능 프로파일을 밝혀내기 위한 혁신적인 시도다. 스펙트럼 프로젝트는 터프츠 대학교의 데이비드 펠드먼을 비롯하여 프로젝트 제로에 참여한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스펙트럼 프로젝트는 모든 아이는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강점을 계발할 수 있는 잠재능력이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학령 전기 아동에게 초점을 둔 스펙트럼 프로젝트는 과학적인 문제와 실제적인 문제 모두를 다룬다. 과학적인 측면에서는 초기의 개인차가 얼마나 신뢰성 있게 탐지될 수 있는지, 그런 개인차에 대한 인식으로 무엇을 예측할 수 있는지가 역점적으로 다루어진다. 실제적인 측면에서는 학부모와 교사가 아동의 인지적 역량들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된다. 이 시기에는 아이의 뇌가 상대적으로 유연하..
갈등중재모델(CONFLICT MEDIATION MODEL) - 코스텔닉 갈등 중재 모델의 목적은 어린이들이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명령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그들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하는 데 있다. 아이들은 스스로 공격성을 줄이고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들은 그들이 제안하는 해결책을 늘려나가고 나아가 협상의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시간을 줄여나가게 된다. 1) 1단계 : 중재 과정의 시작(Initiate the Mediation Process) 먼저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중재자의 역할을 가정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는 아이들이 공격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막고서는 그들을 분리시켜 놓으면서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해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시각에서 사안을 보는 것이다. 아이들 중간에 있으면서 좀 더 객관적인 방법으로 문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