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시가의 정수

우부가 (전문/해석/원문파일)

우부가.hwp
0.02MB
우부가.pdf
0.11MB

 

우부가 - 작자미상

 

내 말씀 미친 소리인가 저 화상을 구경허게 → 3인칭 화자를 통해 대상과 거리를 둠     * 3인칭 화자의 소개

 

남촌 한량 개똥이는 부모 덕에 편이 놀고

호의호식 무식허고 미련허고 용통*하야

눈은 높고 손은 커서 가량* 없이 주제 넘어

시체*따라 의관하고 남의 눈만 위하것다 → 유행을 따르는 사치스런 생활 

긴긴 봄날 낫잠자기 아침저녁으로 반찬 투정

매팔자*로 무상 출입 매일 취해 게트림*과 → 무위도식하며 방탕하게 사는 모습

이리 모여 노름 놀기 저리 모여 투전질에

기생첩 치가*하고 오입쟁이* 친구로다

사랑에는 조방꾸니* 안방에는 노구*할미

조상이름 떨치세 하고 세도 구멍 기웃기웃 → 개똥이가 양반 출신임을 알 수 있음

염량*보아 진봉*허기 재업*을 까불니고 

허욕으로 장사허기 남의 빚이 태산이라 

내 무식은 생각 않고 어진 사람 미워하기

후할 데는 박하여서 한 푼 돈에 땀이 나고 → 인색함

박할 데는 후하여서 수백 냥이 헛 것이라

승기자*를 염지*하니 반복소인* 허기진다

내 몸에 유리할 대로 남의 말을 탄하지* 않고

친구 벗은 조화하며 제 일가는 불목*하며

병 날 노릇 모두 허고 인삼 녹용 몸 보신하기와

주색잡기 모두 하야 돈 주정을 무진하네

부모 조상 돈망*하여 계집자식 재물 수탐*

일가친척 구박하며 내 인사는 나중이요 남의 흉만 잡아낸다.

내 형세는 개차반에 경계판*을 짊어지고 → 자신의 행동은 엉망이면서 남에게 충고하고 참견하는 모습

없는 말도 지어 내고 시비의 선봉이라

날 데 없지만 용전여수* 상하탱석* 하여 가니

손님은 채객*이요 윤의*는 나 몰라라 → 돈으로 인한 윤리의 파괴. 경제적 몰락과 도덕적 타락.

입구멍이 제일이라 돈 날 노릇 하여 보세 → 먹는 것만을 중시함

전답 팔아 변돈* 주기 종을 팔아 월수* 주기

구목* 베어 장사하기 서책 팔아 빚 주기 → 구목과 서책은 양반의 상징물. 몰락한 양반의 모습.

동네 상놈 부역이요 먼 데 사람 행악이며

잡아오라 꺼믈니라* 자장격지* 몽둥이질

전당 잡고 세간 뺏기 계집 문서로 종 삼기와

살 결박에 소 뺏기와 불호령에 솥 뺏기와 → 가난한 양민들에게 횡포를 부려 인심을 잃음

여기저기 간 곳마다 적실인심* 허겟고나

사람마다 도적이오 원망하는 소리로다 이사나 하여 볼가

가장*을 다팔아도 상팔십*이 내 팔자라

종손 핑계 위전* 팔아 투전질이 생애로다

제사 핑계 제기 팔아 관재구설* 일어난다

뉘라셔 도라 볼가 독부*가 되단 말가

가련타 저 인생아 일조* 걸객이라

대모관자 어디 가고 물레 줄은 무슨 일인고

통영갓은 어디 가고 헌 파립*에 통모자라

주체*로 못 먹던 밥 책력 보아 밥 먹는다. → 삼순구식하는 모습

양볶이는 어디 가고 씀바귀를 단 꿀 빨듯

죽녁고* 어디가고 모주 한 잔 어려워라

울타리가 땔나무요 동네 소금 반찬일세

각장 장판 소라 반자 장지문이 어디 가고

벽 떨어진 단칸방에 거적자리 열두 닢에

호적 종이 문 바르고 신주보가 갓끈이라

은안준마* 어디 가며 선후 구종* 어디 간고

석새* 짚신 지팡이에 정강말*이 제격이라

삼승 버선 태사혜*가 어디 가고 끄레발*이 불쌍허고

비단 주머니 십륙사끈* 화류면경* 어디 가고

버선목* 주머니에 삼노끈 꿰어 차고

돈피* 배자* 담뷔 휘양* 어듸 가며 능라주의* 어디 간고

동지 섯달 베창옷에 삼복다름* 바지거죽

궁둥이는 울근불근 옆걸음질 병신같이

담배 없는 빈 연죽을 소일조로 손에 들고

어슥비슥 다니면서 남의 문전 걸식하며

역질 핑계 제사 핑계 야속허다 너의 인심 원망헐사 팔자타령     * 개똥이에 대한 비판

 

저 건너 꽁생원은 제 아비의 덕분으로 돈 푼이나 가졋드니

술 한 잔 밥 한 술을 친구 대접 하였던가

주제 넘게 아는 체로 음양술수* 탐호하야*

당발복* 구산하기* 피란곳* 찾아 가며

올 적 갈 적 행노상*에 처자식을 흩어 놓고

유무상조* 아니하면 조석난계* 할 수 없다.

사인취물* 허자 허니 두번째엔 아니 속고

공납 범용 허자 허니 일가집에 부자 없고

뜬 재물* 경영허고 경향* 없이 싸다니며 

재상가에 부탁질하다 봉변허고 물러서고

남의 고을에 걸태* 갔다 혼금*에 쫓겨 와서

혼인 중매 혼자 들다 무렴* 보고 뺨 맞으며

가대문서* 구문* 먹기 핀잔 먹고 자빠지기

불리 행세 찌그렁이* 위조문서 비리 호송

부자나 후려 볼까 감언이설 꾀어 보세

언막이*며 보막이*며 은점이며 금점이며

대로변에 색주가며 노름판에 푼 돈 떼기

남북촌에 뚜쟁이*로 인물 초인* 하여 볼까

산진매* 수진매*에 사냥질로 놀러갈 때

대종손 양반 자랑 산소가 팔아 볼까

혼인 핑계 어린 딸은 백 냥 딸이 되었구나

아내는 친정살이 자식들은고생살이

일가*에게 눈이 희고* 친구에게 손가락질

부지거처* 나가더니 소문이나 들어볼까     * 꽁생원에 대한 비판

 

산너머 꾕생원은 그야말로 하우*로다

거들어서 한 말 자랑 대장부의 결기*로다

동네 존장* 몰라 보고 이소능장* 욕하기와 

의관열파* 사람 치고 맞았다고 떼쓰기와

남의 과부 겁탈하기 투장* 간 곳 청병*하기

친척집의 소 끌기와 주먹다짐 일쑤로다

부자집과 긴밀한 척 친한 사람 이간질과

월수돈 일수돈 장별리* 장체기*며

제 부모에게 몹쓸 짓

투전꾼과 조화하며 손목 잡고 술 권하며

제 처자는 몰라 보고 노리개로 정표* 주며

자식 노릇 못하면서 제 자식은 귀이 알며

며느리는 들볶으며 봉양 잘못 호령한다

기둥 베고 벽 떨어라 천하 난봉 자칭하니

부끄럼을 모로고셔

주리 틀려 경친* 것을 옷을 벗고 자랑하며

술집이 안방이요 투전방이 사랑이라

늙은 부모 병든 처자 손톱 발톱 젖혀가며

잠 못 자고 길쌈 한 것 술 내기로 장기 두고

책망 없이 버린 몸이 무슨 생을 못하여서

누이 자식 조카 자식 색주가로 환매하며

부모가 걱정하면 와락 더러 부르대며*

아내가 사설하면 밥상 치고 계집치기

도망산에 묘를 썼나 저녁 굶고 또 나간다

포도청 귀신 되었는지 듣도 보도 못할레라     * 꾕생원에 대한 비판

 

 

     * 용통 : 소견머리가 없고 매우 미련함

     * 가량 : 어떤 일에 대하여 확실한 계산은 아니나 얼마쯤이나 정도가 되리라고 짐작하여 봄

     * 시체 : 유행

     * 매팔자 : 빈들빈들 놀면서도 먹고 사는 걱정이 없는 경우를 이르는 말

     * 게트림 : 거만스럽게 거드름을 피우며 하는 트림

     * 치가 : 집안일을 보살펴 처리함

     * 오입쟁이 : 오입질(아내가 아닌 여자와 성관계를 가지는 것)하는 사람을 낮잡아 이르는 말

     * 조방꾸니 : 오입판에서 남녀 사이의 일을 주선하고 잔심부름 따위를 하는 사람

     * 노구 : 늙은 여자

     * 염량 : 더위와 추위. 세력의 성함과 쇠함

     * 진봉 : 권문 세가에 뇌물을 갖다 바침

     * 재업 : 재산

     * 승기자 : 자신보다 나은 사람

     * 염지 : 싫어함

     * 반복소인 : 줏대 없이 언행을 이랬다저랬다 하여 그 마음을 헤아릴 수 없는 옹졸한 사람

     * 탄하다 : 남의 일을 아랑곳하여 시비하다.

     * 불목 : 화목하지 않음

     * 돈망 : 갑자기 잊음

     * 수탐 : 무엇을 알아내거나 찾기 위하여 조사하거나 엿봄

     * 경계판 : 행동을 깨우치는 말이 적힌 판

     * 용전여수 : 돈을 물처럼 쓴다.

     * 상하탱석 : 아랫돌 빼서 윗돌 괴고 윗돌 빼서 아랫돌 괸다는 뜻으로, 몹시 꼬이는 일을 당하여 임시변통으로 이리저리 맞추어서 겨우 유지해 감을 이르는 말.

     * 채객 : 빚쟁이

     * 윤의 : 윤리와 의리

     * 변돈 : 이자를 무는 빚돈

     * 월수 : 본전에 이자를 합하여 일정한 액수를 달마다 거두어들이는 일. 또는 그 빚.

     * 구목 : 무덤의 풍치를 위해 가꾼 나무

     * 꺼믈니라 : 꺼둘리다. 움켜잡고 함부로 휘두르다.

     * 자장격지 : 무슨 일을 남에게 시키지 않고 손수 함

     * 적실인심 : 인심을 자꾸 잃음

     * 가장 : 집안의 물건

     * 상팔십 : 상수 팔십. 나이가 많도록 오래 사는 것.

     * 위전 : 제사산소에서 제사를 지내는 데 드는 비용을 마련하기 위하여 경작하는 밭

     * 관재구설 : 관가로부터 받는 재앙과 시비

     * 독부 : 외로운 인심을 잃어 도움을 받을 곳이 없는 외로운 남자

     * 일조 : 하루 아침

     * 파립 : 해어지거나 찢어져 못 쓰게 된 갓

     * 주체 : 술을 마셔서 생기는 체증

     * 죽녁고 : 푸른 대쪽을 불에 구워서 받은 진액을 섞어 만든 소주

     * 모주 : 재강(술을 거르고 남은 찌꺼기)에 물을 타서 뿌옇게 걸러 낸 탁주

     * 은안준마 : 은으로 장식한 안장을 얹은 좋은 말

     * 구종 : 벼슬아치를 모시고 다니던 종

     * 석새 :  240올의 날실로 짠 베라는 뜻으로, 성글고 굵은 베를 이르는 말

     * 정강말 : 아무것도 타지 않고 자기 두 발로 걷는 것

     * 태사혜 : 남자의 마른신의 한 가지로 울을 비단이나 가죽으로 하고, 코와 뒤축 부분에 흰 줄무늬를 새기어 놓았음

     * 끄레발 : 단정하지 못하고 어수선한 옷차림

     * 십륙사끈 : 날이 고운 끈

     * 화류면경 : 자단(자단나무)으로 틀을 댄 거울

     * 버선목 : 발목에 닿는 버선 부분

     * 돈피 : 담비의 모피

     * 배자 : 저고리 위에 입는 조끼 모양으로 생긴 덧저고리

     * 휘양 : 추울 때 머리에 쓰던 모자의 하나. 남바위와 비슷하나 뒤가 훨씬 길고 볼끼를 달아 목덜미와 뺨까지 싸게 만들었는데 볼끼는 뒤로 잦혀 매기도 하였다.

     * 능라주의 : 비단옷과 명주옷을 아울러 이르는 말

     * 삼복다름 : 삼복더위

     * 음양술수 : 길흉화복을 점치는 방법

     * 탐호하다 : 매우 즐기며 좋아하다

     * 당발복 : 당대 발복

     * 구산하다 : 산소 쓸 자리를 구하다

     * 피란곳 : 나리를 피하기에 알맞은 고장

     * 행노상 : 돌아다니는 길

     * 유무상조 :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을 도움

     * 조석난계 : 아침 저녁을 먹지 못함

     * 사인취물 : 사람을 속여 물건을 얻음

     * 뜬 재물 : 허황된 재물

     * 경향 : 서울과 시골

     * 걸태 : 걸태질. 염치나 체면을 차리지 않고 재물 따위를 마구 긁어 모으는 일을 낮잡아 이르는 말.

     * 혼금 : 관가에서 집안의 출입을 금하는 일

     * 무렴 : 허물을 용서해 준다고 쓴 문서

     * 가대문서 : 집문서

     * 구문 : 흥정을 붙여 주고 그 보수로 받는 돈

     * 찌그렁이 : 남에게 억지로 떼를 쓰는 것

     * 언막이 : 논에 물을 대기 위해 막은 둑

     * 보막이 : 보를 막기 위해 둑을 막거나 고치는 일

     * 뚜쟁이 : 부부가 아닌 남녀가 정을 통할 수 있도록 소개하는 사람

     * 초인 : 사람을 오라고 부름

     * 산진매 : 산지니

     * 수진매 : 수지니

     * 일가 : 한집에서 사는 가족. 한집안.

     * 눈이 희다 : 눈을 흘기고

     * 부지거처 : 있는 곳을 알 수가 없음

     * 하우 : 아주 어리석고 못남. 또는 그런 사람. 

     * 결기 : 못마땅한 것을 참지 못하고 성을 내거나 왈칵 행동하는 성미

     * 존장 : 지위가 자기보다 높은 사람을 높여 이르는 말

     * 이소능장 : 젊은 사람이 나이든 사람에게 무례함

     * 의관열파 : 옷과 갓을 찢고 부숨

     * 투장 : 남의 산이나 묏자리에 몰래 자기 집안의 묘를 쓰는 일

     * 청병 : 떡을 달라고 함

     * 장별리 : 장터에서 꾸는 돈의 변리

     * 장쳬기 : 장에서 돈을 비싼 변리로 꾸어 주고 장날마다 돈을 받는 일

     * 정표 : 간절한 정을 드러내 보이기 위하여 물품을 줌. 또는 그 물품.

     * 경치다 : 혹독하게 벌을 받다.

     * 무상 : 어떤 행위에 대하여 아무런 대가나 보상이 없음

     * 부르대다 : 남을 나무라기나 하는 듯이 거친 말로 야단스럽게 떠들어 대다



 갈래 : 가사
 성격 : 비판적, 풍자적, 사실적
 주제 : 도덕적 타락에 대한 비난과 경계
 표현상의 특징 :   
   - 열거와 반복을 통해 봉건적 윤리 의식의 파탄과 양반 사회의 붕괴를 드러냄
 화자 : 세 양반을 비판적으로 바라보는 '나'
 시적 상황 : 화자가 세 양반(상층, 중층, 하층)들의 행적을 열거하며 비판적 태도를 취하고 있다.
 정서 : -
 태도 : 풍자적, 비판적, 사실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