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현대문법의 정수

[심화] 어휘론 - 2. 어휘의 양상 7) 새말 ·유행어 1. 새말 - 개념 = 사회가 변화·발전함에 따라서 새로운 사물이나 개념이 등장할 때, 이를 지칭하기 위해 새로 등장하는 말 = 예 : 쌕쌕이(제트기), 도시락, 통조림 - 등장 = 이미 존재하는 개념이라 하더라도 그것을 표현하던 어휘의 표현력이 감소되었을 때 그것을 보강하거나 신선한 맛을 내기 위하여 등장하기도 한다. - 소멸 = 새말은 그 표현의 필요성에 따라 발생하였다가 필요성이 사라짐과 동시에 역사 속에서 홀연히 파묻혀 버리기도 한다. - 말을 만드는 어려움 = 새로운 말소리를 사용할 경우 받아들이기 어렵고, 기존의 말을 활용할 경우 기존의 의미가 방해를 하는 경우가 많다. → 외국말을 그대로 빌려 쓰는 경우가 많다(=차용어) - 주의 = 우리말을 변조하거나 국적 불명의 외국어처럼 만드는 것은 바..
[심화] 어휘론 - 2. 어휘의 양상 6) 전문어 1. 개념 - 전문 분야의 일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하여 도구처럼 사용하는 말 - 예 : 전통 가옥 건축업 - 포집, 도리, 서들 - 특별한 예 : 염화나트륨(전문어), 소금(일상어), 지방(전문어), 기름(일상어) 2. 특징 - 의미가 매우 정밀하고 다의성이 적으며 그에 대응하는 일반 어휘가 없는 경우가 많다. 3. 기능 - 전문 분야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일반인들에게 비밀을 유지하기 위한 방편으로 사용할 경우, 은어와 유사한 기능을 한다. 4. 성격 - 의미의 다양성이 적다. - 의미가 문백적 영향을 적게 받는다. - 감정적인 의미가 개입되지 않는다. - 일반 사회의 기본 어휘로 사용되는 경우가 적다. - 새말의 생성이 활발하다. - 의미에 의도적인 규제가 가해져 있는 경우가 많다. - 외래어로부터 ..
[심화] 어휘론 - 2. 어휘의 양상 5) 관용어·속담 1. 관용어 - 둘 이상의 단어들이 결합하여 특별한 의미로 사용되는, 관습적으로 굳어진 말 - 예 : 미역국을 먹었다., 발길을 끊다. 2. 속담 - 우리의 전통적 생활 문화가 농축된 삶의 지혜가 완결된 문장의 형태로 들어 있는 표현 - 예 : 아는 길도 물어 가라. 3. 관용어와 속담의 공통점, 차이점 - 공통점 = 두 개 이상의 단어가 결합되어 있으면서도 그 의미가 특수화되어 하나의 단어처럼 취급되며 독특하고 다채로운 표현 효과를 지닌다. = 민족의 문화나 사고 방식을 파악할 수 있는 우리 고유의 언어 문화 자산이다. - 차이점 = 관용어보다는 속담 속에 구체적이고 일상적인 삶의 교훈이 더 들어가 있다. = 속담은 구체적인 사실을 가지고 교훈적인 개념을 표현한다. ◈ 속담이 주제 의미, 즉 말하고자 ..
[심화] 어휘론 - 2. 어휘의 양상 4) 금기어·완곡어 1. 금기어 - 개념 : 불쾌하고 두려운 것(죽음, 질병, 범죄, 위험한 동물, 추한 동물, 성性, 배설 등)을 연상하게 하여 입 밖에 내기를 싫어하는 말 - 예 : 천연두, 쥐, 변소 - 특징 : 일상적인 언어 생활에서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2. 완곡어 - 개념 : 금기어를 불쾌감이 덜하도록 대체한 말 - 예 : 마마/손님(←천연두), 서생원/아기네(←쥐), 뒷간/화장실/해우소(←변소), 뒤보다(←똥누다) - 필요성 : 언어 표현 효과 때문이다.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기 위해서는 상황과 장면을 고려하여 완곡어를 사용하여야 한다. 3. 속어와 금기어의 차이점 - 속어 : 장난스러움, 점잖지 못함 같은 느낌 - 금기어 : 사회적으로 두려움, 지저분함 같은 불쾌감
[심화] 어휘론 - 2. 어휘의 양상 3) 은어·속어 1. 은어(=변말) - 개념 = 어떤 폐쇄된 집단에 속한 사람들이 다른 집단으로부터 자신들을 방어하려는 목적으로 발생한 말 = 특정 집단의 비밀어 ◈ 예 : 별장/빵간(→교도소), 가방끈(→학력), 똘마니(→부하), 짭새/곰(→형사) - 유사한 말 = 비밀어 - 특징 = 일반 사회에 알려지게 되면 즉시 변경되는 것이 원칙이다. = 폐쇄성, 은비성, 위장성 - 발생 동기 = 종교적 동기 : 흔히 오염되어 있다고 생각되는 세속어를 기피하고 신성한 것으로 생각되는 특수한 은어를 사용한다. ◈ 예 : 산삼 채취인의 은어 (심→산삼, 산개→호랑이, 쿨쿨이→산돼지...) = 상업적 동기 : 고객들을 대상으로 보다 많은 금전적 수익을 올리기 위해 은어를 사용한다. ◈ 예 : 청과물 상인들이 사용하는 셈변 은어 (먹주..
[심화] 어휘론 - 2. 어휘의 양상 2) 방언 1. 방언 - 방언의 분류 = 지역 방언 ◈ 한 언어가 지역적으로 오랜 시간 격리되어 있음에 따라 달라진 언어 ▣ 국어의 지역 방언 분류 : 동북 방언, 서북 방언, 중부 방언, 동남 방언, 서남 방언, 제주 방언 = 사회 방언 ◈ 연령, 성별, 사회 집단 등에 따라 분화된 언어 - 방언 어휘 = 각 방언에서 사용되는 단어들이 현저하게 달라지는 일이 발생하는데 이렇게 달라진 단어들을 말한다. - 방언의 = '격리' 때문이다. 주로 공간적으로 멀리 격리되어 시간이 오래 흐르면 자연스럽게 언어가 달라질 수 있다.
[심화] 어휘론 - 2. 어휘의 양상 1) 어휘의 양상 ※ 어휘의 변이 : 동일한 의미를 가진 단어인데, 집단에 따라 다르게 사용된다는 것. : 지역적 변이(+지리적), 사회적 변이(-지리적), 상황적 변이(-위상적)로 나뉜다. ※ 어휘의 팽창 : 문명의 발달에 따라 완전히 새로운 단어가 생겨나는 현상 ※ 위상적 변이와 비위상적 변이 - 위상적 변이 = 개인의 의지와 상관없이 사회적 약속을 준수하는 변이 = '누가 어디서 말하는 어휘냐'하는 점을 중심으로 구별된다. - 비위상적 변이(=화용적 변이) = 개인을 둘러싸고 있는 상황에 대처하면서 개인적인 의지에 의한 다양한 표현 욕구를 충족하기 위한 변이. = '동일한 화자가 어떻게 말하는 어휘냐'하는 점을 중심으로 구별된다.
[심화] 어휘론 - 1. 어휘의 체계 2)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 국어 어휘의 대종을 이루고 있는 것 - 고유어와 한자어 1. 고유어(= 순우리말) - 개념 : 다른 나라 말에서 들여온 것이 아니라 예로부터 우리의 것인 말 - 특징 : 의미의 폭이 넓고 다의어가 많아서, 고유어 하나에 둘 이상의 한자어들이 폭넓게 대응하는 현상이 존재한다. - 기능 = 우리 민족 특유의 문화나 정서를 표현한다. = 정서적 감수성을 풍요롭게 한다. ◈ 민족적 정서를 표현하고자 할 때 꼭 필요한 표현 도구이다. ◈ '미모(眉毛), 곡미(曲眉), 아미(蛾眉)'라는 표현보다 '눈썹'이라는 말이 우리에게 쉽고 정답게 느껴진다. = 혈통이 뚜렷한 우리의 언어 자산이다. = 앞으로 새로운 말들을 만들 때 중요한 자원이다. - 분포 : '표준 국어 대사전'에 수록된 고유어는 전체 어휘의 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