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

[완벽정리] 초혼 - 김소월 (전문/해석/원문파일) 초혼 산산이 부서진 이름이여! 허공 중에 헤어진 이름이여! 불러도 주인 없는 이름이여!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심중에 남아 있는 말 한 마디는 끝끝내 마저 하지 못하였구나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붉은 해는 서산 마루에 걸리었다 사슴의 무리도 슬피 운다 떨어져 나가 앉은 산 위에서 나는 그대의 이름을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설움에 겹도록 부르노라 부르는 소리는 비껴가지만 하늘과 땅 사이가 너무 넓구나 선 채로 이 자리에 돌이 되어도 부르다가 내가 죽을 이름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사랑하던 그 사람이여! 김소월 핵심 정리 * 성격 : 애상적, 격정적, 제의적, 감상적, 전통적 * 어조 : 비탄에 빠져 절규하는 어조, 직접적인 영탄조 * 제재 : 임의 죽음 * 주제..
[완벽정리] 진달래꽃 - 김소월 (전문/해석/원문파일) 진달래꽃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오리다 영변의 약산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오리다 김소월 핵심 정리 * 성격 : 토속적, 민요적 * 경향 : 유교적 휴머니즘 * 미감 : 애상미 * 운율 : 3음보의 율격, 각운 * 어조 : 여성적 어조 * 표현 : 반복적인 리듬과 음악성이 돋보임 * 제재 : 진달래꽃 * 주제 : 승화된 이별의 정한 * 특징 : 1) 토속적 사투리와 사랑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처리한 서정시의 백미 2) 순종의 미덕이 잔잔하게 깔려 있으면서 내면으로는 여성의 강한 만류의 뜻이 담겨 있음 * 출전 : 개벽(1922) 2. 이해와 감상 승화..
[완벽정리] 접동새 - 김소월 (전문/해석/원문파일) 접동새 접동 접동 아우래비 접동 진두강 가람가에 살던 ㄴ나는 진두강 앞 마을에 와서 웁니다 옛날, 우리나라 먼 두쪽의 진두강 가람가에 살던 누나는 의붓어미 시샘에 죽었습니다 누나라고 불러 보랴 오오 불설워 시샘에 몸이 죽은 우리 누나는 죽어서 접동새가 되었습니다 아홉이나 남아 되는 오랍동생을 죽어서도 못 잊어 차마 못 잊어 야삼경 남 다 자는 밤이 깊으면 이산 저산 옮아가며 슬피 웁니다 - 김소월 핵심 정리 * 성격 : 감상적, 향토적, 전통적, 애상적, 민요적 * 어조 : 애상적 어조, 비애에 사로잡힌 애절한 목소리 * 운율 : 3음보 율격 * 제재 : 접동새 설화 * 주제 : 1) 현실의 비극적 삶을 초극하려는 애절한 혈육의 정 2) 식민지 지식인의 허무 의식과 슬픔 3) 죽어서도 잊지 못하는 혈육의..
[완벽정리] 왕십리 - 김소월 (전문/해석/원문파일) 왕십리 비가 온다 오누나 오는 비는 올지라도 한 닷새 왔으면 좋지 여드레 스무날엔 온다고 하고 초하루 삭망이면 간다고 했지 가도 가도 왕십리 비가 오네 웬걸, 저 새야 울려거든 왕십리 건너가서 울어나 다고 비 맞아 나른해서 벌새가 운다 천안에 삼거리 실버들도 촉촉이 젖어서 늘어졌다데 비가 와도 한 닷새 왔으면 좋지 구름도 산마루에 걸려서 운다 김소월 핵심 정리 * 제재 : 비 * 주제 : 유랑의 비애 * 특징 : 이 시는 김소월이 많이 다룬 주제 중의 하나인 유랑의 비애를 노래하고 있다. 여기서 ‘왕십리’란 구체적인 장소라기보다는 시적 화자가 가고 싶어 하는 관념적 세계와의 거리감을 나타낸다. 즉 ‘가도가도 왕십리’라는 것은 자기가 안주하고 싶어하는 세계에 영원히 도달하지 못할 것이라는 절망감의 표현이다..
[완벽정리] 엄마야 누나야 - 김소월 (전문/해석/완벽정리) 엄마야 누나야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뜰에는 반짝이는 금모래빛 뒷문 밖에는 갈잎의 노래 엄마야 누나야 강변 살자 김소월 핵심 정리 * 제재 : 평화스러운 자연의 세계인 강변 * 주제 : 평화로운 삶에 대한 소망 * 특징 : 이 시는 평화롭고 아름다운 자연에서 살고 싶은 소망을 순진무구한 소년의 목소리를 빌려 형상화한 작품이다. 노래로도 만들어져 자주 불리고 있는데 시구가 거의 유성음으로 이루어져 밝은 느낌을 준다. ‘개벽’에 처음 발표되었을 때는 첫 행과 마지막 행이 ‘강변에 살자’로 되어 있었는데, 뒤에 운율의 미를 살리기 위해 ‘에’를 생략했다고 한다. 1행에서는 순진무구한 어린 소년의 목소리를 빌려 아름다운 자연에서 살고 싶은 소망을 노래하였다. 여기에서 ‘강변’은 평화스러운 자연의 세계를 대표하..
[완벽정리] 산유화 - 김소월 (전문/해석/원문파일) 산유화 산에는 꽃 피네 꽃이 피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피네 산에 산에 피는 꽃은 저만치 혼자서 피어 있네 산에서 우는 작은 새여 꽃이 좋아 산에서 사노라네 산에는 꽃 지네 꽃이 지네 갈 봄 여름 없이 꽃이 지네 김소월 핵심정리 * 성격 : 민요적, 전통적, 관조적, 낭만적 * 어조 : 애상적인 독백체의 어조 * 표현상의 특징 : 1) 3음보 율격으로 동량(同量)적 반복에 따른 대립 구조 2) 감정 이입의 수법 3) 감정을 직접 토로하지 않고 객관적으로 상황만 제시함 4) 반복을 통한 단순미의 실현 * 구성 : 1연과 4연, 2연과 3연은 선(線) 대칭 구조임 * 제재 : 산에 있는 꽃과 새 * 주제 : 고독하고 순수한 인간 본연의 모습 (존재의 근원적 고독) * 특징 : 1) 전체 연의 배열이 대칭 ..
[완벽정리] 산 - 김소월 (전문/해석/원문파일) 산 산새도 오리나무 우에서 운다 산새는 왜 우노, 시메산골 영 넘어가려고 그래서 울지 눈은 나리네, 와서 덮이네 오늘도 하룻길 칠팝십 리 돌아서서 육십 리는 가기도 했소 불귀, 불귀, 다시 불귀 삼수갑산에 다시 불귀 사나이 속이라 잊으련만 십오 년 정분을 못 잊겠네 산에는 오는 눈, 들에는 녹는 눈 산새도 오리나무 우에서 운다 삼수갑산 가는 길은 고개의 길 김소월 핵심 정리 * 성격 : 애상적, 민요적 * 어조 : 후회와 한탄의 어조 * 제재 : 산새 * 주제 : 이별의 정한과 비애 * 특징 : 1) 반복을 통해 운율을 살리고 있다. 2) 대화체를 사용하여 대상과 동질감을 드러내고 있다. * 출전 : 진달래꽃(1925) 2. 이해와 감상 소월 시에 나타나는 고향 상실, 집 없음 의식은 대체로 소월 자신의..
[완벽정리]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 김소월 (전문/해석/원문파일)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보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나는 꿈꾸었노라, 동무들과 내가 가지런히 벌가의 하루 일을 다 마치고 석양에 마을로 돌아오는 꿈을, 즐거이, 꿈 가운데 그러나 집 잃은 내 몸이여, 바라건대는 우리에게 우리의 모습 대일 땅이 있었더면! 이처럼 떠돌으랴, 아침에 저물손에 새라 새로운 탄식을 얻으면서 동이랴, 남북이랴, 내 몸은 떠가나니, 볼지어다, 희망의 반짝임은, 별빛의 아득임은, 물결뿐 떠올라라, 가슴과 팔 다리에 그러다 어쩌면 황송한 이 심정을! 날로 나날이 내 앞에는 자칫 가늘은 길이 이어가라. 나는 나아가리라. 한 걸음, 또 한 걸음, 보이는 산비탈엔 온 새벽 동무들, 저 저 혼자······ 산경을 김매이는 김소월 핵심 정리 * 성격 : 남성적, 저항적, 의지적, 참여적 * 어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