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육학의 정수

정서지능 정서지능이라는 용어는 1990년 미국 뉴햄프셔 대학의 John Mayer교수와 예일 대학의 Peter Salovey 교수에 의해 처음으로 사용되었다. 이들은 정서지능을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인식하고 표현할 줄 아는 능력, 자신과 타인의 정서를 효과적으로 규제할 줄 아는 능력 그리고 자신의 삶을 계획하고 성취하기 위해서 그런 정서를 이용하고 활용할 줄 아는 능력"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 후 타임지가 1995년에 Daniel Goleman의 저서 『정서지능(Emotional Intelligence)』을 소개하면서, IQ에 대응하여 정서지능을 설명하기 위해 정서지수(Emotional Quotient : EQ)라는 용어를 사용하였다. 이후의 보다 큰 만족을 위해 현재의 만족감을 지연시킬 수 있는 능력, 충동..
공격성의 유형 1) 우연적 공격성 의도하지 않게 타인에게 피해를 준 경우이다. 정글짐을 오르다가 친구 손을 밟는 것이 그 예이다. 2) 표현적 공격성 누군가에게 의도하지 않은 불행을 주는 것에서 비롯된 재미있고 탐색적인 신체적 행동이다. 태권도로 친구가 쌓은 탑을 무너뜨리고 즐거워하기가 그 예이다. 3) 도구적 공격성 자신이 원하는 것을 덛고 어떤 것을 지키기 위해서 의도치 않게 타인에게 피해는 주는 경우로, 공격성이 목적은 아니되 상호작용의 결과로 나타난다. 장난감을 서로 가지려고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친구의 눈을 찌르는 것이 그 예이다. 4) 적대적 공격성 다른 사람에게 상처를 주거나 협박해서 힘을 얻고자 하는 고의적인 행동이다. 소문이나 거짓말 퍼트리기이다.
다중지능이론 - 스펙트럼 프로젝트 스펙트럼 프로젝트는 어린 아이의 지능 프로파일을 밝혀내기 위한 혁신적인 시도다. 스펙트럼 프로젝트는 터프츠 대학교의 데이비드 펠드먼을 비롯하여 프로젝트 제로에 참여한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개발되었다. 스펙트럼 프로젝트는 모든 아이는 하나 이상의 영역에서 강점을 계발할 수 있는 잠재능력이 있다는 가정에서 출발한다. 학령 전기 아동에게 초점을 둔 스펙트럼 프로젝트는 과학적인 문제와 실제적인 문제 모두를 다룬다. 과학적인 측면에서는 초기의 개인차가 얼마나 신뢰성 있게 탐지될 수 있는지, 그런 개인차에 대한 인식으로 무엇을 예측할 수 있는지가 역점적으로 다루어진다. 실제적인 측면에서는 학부모와 교사가 아동의 인지적 역량들에 대한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시된다. 이 시기에는 아이의 뇌가 상대적으로 유연하..
갈등중재모델(CONFLICT MEDIATION MODEL) - 코스텔닉 갈등 중재 모델의 목적은 어린이들이 그들의 문제를 해결하도록 명령하는 것이 아니라, 아이들이 그들 스스로 해결책을 찾도록 하는 데 있다. 아이들은 스스로 공격성을 줄이고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시간이 지나면서 아이들은 그들이 제안하는 해결책을 늘려나가고 나아가 협상의 상황에서 필요로 하는 시간을 줄여나가게 된다. 1) 1단계 : 중재 과정의 시작(Initiate the Mediation Process) 먼저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중재자의 역할을 가정해야 한다. 이 단계에서는 아이들이 공격적인 행동을 하지 못하도록 막고서는 그들을 분리시켜 놓으면서 문제가 무엇인지 정의해야 한다. 이때 중요한 것은 아이들의 시각에서 사안을 보는 것이다. 아이들 중간에 있으면서 좀 더 객관적인 방법으로 문제 ..
반성적 사고의 수준 - 밴매넌(Van Manen, 1977) 교사 교육에서 반성적 사고를 촉진하는 프로그램을 구성하고자 할 때 밴 매넌(Van Manen, 1977)의 반성적 사고의 수준은 프로그램의 질을 분명하게 구분해 준다. 밴 매넌은 반성적 사고를 기술적 수준, 전문가적 수준, 그리고 정의, 평화, 평등과 같은 도덕적·윤리적 가치를 포함한 비판적 수준으로 구분하였다. Van Mannen은 반성의 수준을 위계적 관점으로 상정하고 있어 기술적 반성을 토대로 해석적 반성이 일어나고 해석적 반성을 토대로 비판적 반성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예비교사나 초임교사의 경우 기술적 반성이 일어나고 경력교사의 경우 해석적 반성, 비판적 반성이 일어난다고 보았다. 1) 기술적 수준 (기술적 반성_technical) ㉠ 기술적 수준에서 반성적 사고의 주된 관심사는 주어진 목적을 달..
[각종 교육학 시험 대비] 판단적 접근 (첨부파일 다운로드) 1. 탈목표평가·가치판단모형·요구기준평가 (스크리븐) - 목표에 대한 정보 없이 여러 정보와 증거만을 수집해서 프로그램의 목표·성취정도·가치를 판단 - 목표의 성취정도뿐만 아니라 ‘목표 그 자체의 가치’를 평가할 필요가 있음 - 집단의 요구를 어느 정도 충족시키는가를 기준으로 프로그램의 가치·장점 평가【수요자중심평가】 - 평가의 편향성을 감소시켜 객관성 높임 : 프로그램의 효과를 포괄적으로 검토, 잠재적 효과 평가 ① 내재적 준거와 ★외재적 준거(평가에 의한 변화, 평가의 부작용, 부작용에 대한 대안 등) 모두 중시 ▲ 내재적준거(=과정준거) : 평가도구와 방법의 신뢰도·객관도, 평가도구 제작, 문항 작성, 통계 처리 등 ▲ 외재적준거(=산출준거) : 밖으로 드러나는 준거 즉, 효과 (의도된 효과, 의도..
[각종 교육학 시험 대비] 의사결정적 접근 (첨부파일 다운로드) 1. CIPP모형 (스터플빔) - 의사결정자에게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사결정을 돕는 교육평가 모형 (경영적 접근) - 목표설정에서부터 설계·실행·결과에 이르기까지 전체 과정의 각 단계에 적절한 평가 - 투입-산출의 경영체제에서 효율성을 가늠하는데 초점 의사 결정 단계 1. 계획 단계 : 조직의 경영 목표 확인·선정 ← 상황평가 C 2. 구조화 단계 : 목표달성에 적합한 절차·전략 설계 ← 투입평가 I 3. 실행 단계 : 결정된 절차·전략을 행동으로 옮김 ← 과정평가 P 4. 결과 단계 : 목표달성정도를 판단·의견제시 ← 산출평가 P 2. 연구적 접근 (크론바흐) - 평가는 연구의 통합적인 한 부분 - 과정의 개선, 형성평가, 사례 연구 중시 - 판단이 아닌, 기술(記述)만을 강조
[각종 교육학 시험 대비] 목표 중심 접근 (첨부파일 다운로드) 1. 목표 중심 모형 (타일러) - 장점 : 목표·내용·평가 간 논리적 일관성 유지 가능 : 목표 도달 정도 파악 - 단점 : 행동용어로 진술하기 어려운 목표는 평가하기 어려움 : 목표로 설정되지 않은 과정이나 결과는 평가할 수 없음 - 괴리모형·격차평가모형(프로버스), EPIC모형·3차원구조모형(하몬드) 등에 영향을 줌 2. EPIC모형, 3차원 구조모형, 3차원 입방체 모형(하몬드) - 목표달성정도를 파악할 때, 행동적 차원 이외에 제도적 차원과 교수적 차원을 고려하는 평가 모형 - 사전에 설정한 목표를 준거로, 세 차원들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평가 - 차원 : 행동(인지·정의·심동) : 기관(학생·교사·관리자·교육전문가·학부모·지역사회) : 수업(조직·내용·방법·시설·비용) - 목적 : 프로그램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