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현대시의 정수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 박인환 (전문/해석/원문파일)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hwp
0.09MB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pdf
0.06MB

현재의 시간과 과거의 시간은 아마 모두 미래의 시간에 존재하고, 미래의 시간은 과거의 시간에 포함된다.

- T. S. 엘리어트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그것은 나와 우리들의 죽음보다도

더한 냉혹하고 절실한

회상과 체험일지도 모른다.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여러 차례의 살육(殺戮)에 복종한 생명보다도

더한 복수와 고독을 아는

고뇌와 저항일지도 모른다.

 

한 걸음 한 걸음 나는 허물어지는

정적(靜寂)과 초연(硝煙)*의 도시(都市) 그 암흑 속으로······

명상과 또다시 오지 않을 영원한 내일로······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유형(流刑)*의 애인처럼 손잡기 위하여

이미 소멸된 청춘의 반역(反逆)을 회상하면서

회의와 불안만이 다정스러운

모멸(侮蔑)의 오늘을 살아 나간다.

 

······ 아 최후로 이 성자(聖者)의 세계에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 분명히

그것은 속죄(贖罪)의 회화(繪畫) 속의 나녀(裸女)*

회상도 고뇌도 이제는 망령(亡靈)에게 팔은

철없는 시인(詩人)

나는 눈 감지 못한

단순한 상태의 시체(屍體)일 것이다······.

 

 

(시집 박인환시선집, 1955)

 

 

 

* 초연 : 화약의 연기

* 유형 : 귀양 가는 형벌

* 나녀 : 벌거벗은 여자

* 박인환 : 강원도 인제 출생(1926), 평양의학전문학교 입학, 해방을 맞으면서 학업 중단, 국제신문에 시 거리를 발표하며 등단(1946), 김수영·김경린·양병식·임호권과 함께 공동 시집 새로운 도시와 시민들의 합창발간(1949), 시집 박인환 시선집발간(1955), 사망(1956)

 

 

해석

이 시는 엘리어트의 4중주의 첫 구를 빌어 전후의 황폐한 현실로부터 느끼는 허무의식과 불안의 시간을 극복·초월하고 싶어하는 욕망을 긴장감 있는 언어로 표현하고 있다. 4연으로 이루어진 이 시는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이란 가정 아래 첫째 연에서는 회상과 체험뿐인 삶을, 둘째 연에서는 고뇌와 저항뿐인 삶을, 셋째 연에서는 회의와 불안만 있는 모멸적인 삶을, 마지막 연에서는 삶에 대한 절망과 죽음의 인식을 보여 준다.

화자는 여러 차례의 살육에 복종한 생명들로 인한 정적과 아직 초연이 자욱한 도시의 암흑 속에서 모든 소망을 상실하고 소멸된 청춘의 반역을 회상하는 죽은 존재와 다름이 없다. 다만 살아 있는 것이 있다면그것은 냉혹하고 절실한 / 회상과 체험’, ‘복수와 고독을 아는 / 고뇌와 저항’, ‘회의와 불안뿐이다.

그러므로 ‘······ 아 최후로 이 성자의 세계라는 구절은 전후의 황폐한 도시, 참담한 현실의 반어적 표현일 뿐이다. 그곳에서 살아 있는’ ‘나와 우리들은모두 시체라는 역설적 표현을 통해 화자는 그 곳이 더 이상 삶이 존재할 수 없는 곳이라는 비극적 인식에까지 이른다. 절망감과 허무 의식은 시대 현실에 저항하지 못하는 자신에 대한 모멸감으로 발전된다. 그로인해 화자는 자신을 철없는 시인으로 비하하고 단순한 상태의 시체일 것이라고 폄하한다. 이는 전쟁의 잔인성의 고발, 전후의 비극적 분위기 제시를 넘어 비극적 현실을 날카롭게 응시하는 방법을 통해 이를 극복하려는 치열한 시정신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