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현대시의 정수

방랑(放浪)의 마음 - 오상순 (전문/해석/원문파일)

방랑의 마음.hwp
0.02MB
방랑의 마음.pdf
0.05MB

 

흐름 위에

보금자리 친

흐름 위에

보금자리 친

나의 혼()······

 

바다 없는 곳에서

바다를 연모(戀慕)하는 나머지에

눈을 감고 마음속에

바다를 그려 보다

가만히 앉아서 때를 잃고······

 

옛 성 위에 발돋움하고

들 너머 산 너머 보이는 듯 마는 듯

어릿거리는 바다를 바라보다

해 지는 줄도 모르고 -

 

바다를 마음에 불러 일으켜

가만히 응시하고 있으면

깊은 바닷소리

나의 피의 조류(潮流)를 통하여 오도다.

 

망망(茫茫)한 푸른 해원 -

마음 눈에 펴서 열리는 때에

안개 같은 바다와 향기

코에 서리도다.

 

(동명18, 1923.1.)

 

 

* 오상순 : 공초(空超). 상현(想絢). 선운(禪雲). 서울 출생(1894), 어의동학교에 입학(1900), 경신학교 졸업(1906), 일본 도시샤 대학 종교철학과 졸업(1918), 김억·남궁벽과 함께 폐허동인으로 참가(1920), 사망(1963)

 

 

해석

이 시는 일제 치하라는 현실의 질곡을 벗어난 이상향을 그리워하며 정처 없이 떠도는 마음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향은 망망한 푸른 해원으로 눈을 감고 마음속에그리는 바다이다. 현실의 모든 고뇌로부터 떠난 자유와 안식의 바다이다. ‘가만히 응시하고 있으면 / 깊은 바닷소리는 내 몸 속으로 피의 조류를 통하여 오지만, 그곳으로 갈 수 있었던 때를 잃고’, 다만 끝없는 그리움으로 해 지는 줄도 모르고’ ‘발돋움하고 / 바다를 바라보게 된다. ‘옛 성 위에 발돋움하고바라보는 그 바다는 시인이 식민지라는 민족적 고통을 안고 꿈꾸는 곳으로, 결국 일제로부터 해방된 조국을 상징한다고 볼 수 있다. 암울한 시대 상황 속에서 젊은 시인의 흐름 위에 / 보금자리 친영혼이 그리워할 수 있는 곳은 아마도 마음속에만 존재하는 푸른 해원과 같은 곳일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하루 200개비의 줄담배를 피우며 일생을 독신으로 외롭게 살다 세상을 떠난 공초 오상순은 변영로와 함께 폐허동인 활동을 하면서 기독교를 버리고 입산과 환속을 거듭하는 등 숱한 기행(奇行)으로 화제를 뿌렸던 시인이다. 그는 평생을 이 작품의 제목처럼 방랑의 마음으로 전국을 떠돌며 일제 식민지 치하의 삶을 허무와 세속에의 일탈로 영위하려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