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현대시의 정수

당신을 보았습니다 - 한용운 (전문/해석/원문파일)

당신을 보았습니다.hwp
0.02MB
당신을 보았습니다.pdf
0.06MB

당신이 가신 후로 나는 당신을 잊을 수가 없습니다.

까닭은 당신을 위하느니보다 나를 위함이 더 많습니다.

 

나는 갈고 심을 땅이 없으므로 추수(秋收)가 없습니다.

저녁거리가 없어서 조나 감자를 꾸러 이웃집에 갔더니, 주인은 거지는 인격이 없다. 인격이 없는 사람은 생명이 없다. 너를 도와주는 것은 죄악이다.”고 말하였습니다.

그 말을 듣고 돌아 나올 때에, 쏟아지는 눈물 속에서 당신을 보았습니다.

 

나는 집도 없고 다른 까닭을 겸하여 민적(民籍)*이 없습니다.

민적 없는 자는 인권(人權)이 없다. 인권이 없는 너에게 무슨 정조(貞操).”하고 능욕하려는 장군이 있었습니다.

그를 항거한 뒤에 남에게 대한 격분이 스스로의 슬픔으로 화()하는 찰나에 당신을 보았습니다.

 

아아 온갖 윤리, 도덕, 법률은 칼과 황금을 제사 지내는 연기인 줄을 알았습니다.

영원(永遠)의 사랑을 받을까, 인간 역사의 첫 페이지에 잉크칠을 할까, 술을 마실까 망설일 때에 당신을 보았습니다.

 

(시집 님의 침묵, 1926)

 

 

* 민적 : 예전에 호적을 달리 부르던 말.

* 한용운 : 한정옥(韓貞玉). 만해(萬海). 한유천(韓裕天). 충청남도 홍성 출생(1879), 동학에 가담하였으나 운동이 실패하자 설악산 오세암에 들어감(1896), 3·1운동 민족대표 33인 중 한 사람으로 독립 선언서에 서명(1919), 신간회 중앙 집행위원(1927), 월간지 불교발행인(1930), 사망(1944).

 

해석

정조, 능욕등의 단어를 통해 화자가 여성임을 짐작할 수 있다. 인종의 삶을 사는 화자는 가냘프면서도 강인한 모습을 보인다. ‘당신은 화자를 두고 떠났지만, 화자는 당신을 잊지 못한다. 사람다운 삶을 포기한 채 치욕 속에서 사는 화자에게 당신은 삶의 지표가 되기 때문이다. ‘갈고 심을 땅, ‘, ‘민적도 없다. 이러한 나에게 부자인 주인과 권력자인 장군은 인격적 대우를 하지 않고 치욕을 준다. 가진 자와 못 가진 자, 지배자와 피지배자, 권력자와 민중의 대립은 타락한 인간 세계의 실상을 보여 주는 것이자, 우리 민족과 일제의 대립이 있던 식민지 상황을 암시한다. 3·1운동은 민족의 삶과 존엄성이 박탈된 상황에서 그를 항거한 사건으로 볼 수 있다. 그러나 3·1운동은 실패로 끝났고 이로 인해 느끼는 무기력함과 절망감은 스스로의 슬픔으로 인식된다.

이러한 현실에서 치욕적인 삶을 살아가는 화자는 윤리와 도덕, 법률이 로 상징되는 권력, ‘황금으로 상징되는 돈에 의해 지배되는 허위적인 것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로 인해 세상과 자신의 삶에 대한 깊은 회의와 절망에 빠진다. 현실의 역사를 부정하고 피안의 세계(불교적 초월의 세계)로 도피하는 삶, 인류 역사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삶, 현실에 절망하고 자포자기하는 삶 가운데 무엇을 선택해야 하는지 갈등을 겪던 화자는 당신의 존재를 발견한다.

시에는 생략되어 있지만 상호텍스트적 입장에서 해석해 본다면, 만해의 시를 관통하는 과 이 시의 당신을 같은 대상으로 볼 수 있다. ‘당신은 화자로 하여금 아무리 타락한 현실 세계라 할지라도, 참된 삶을 이루기 위한 정당한 모색은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또한 그것을 통해 역사가 발전한다는 것을 깨우치게 한다. 그 귀중한 깨우침이 바로 만해로 하여금 조국과 민족을 위해 일생을 바치게 한 밑거름이 되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