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산문의 정수

삼국유사(三國遺事) - 무왕(武王)/서동요(薯童謠)

※ '무왕(武王)'은 '삼국유사' 제2권에 실려 있다.

 

  백제 제30대 무왕의 어머니는 일찍 과부가 되어 혼자 살고 있었는데, 못에 사는 용과의 사이에서 무왕을 낳았다. 무왕의 어릴 때 이름은 서동(薯童)인데 항상 마를 캐서 살았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 것이다.

  서동은 신라 진평왕의 딸 선화공주(善花公主)가 예쁘다는 소문을 듣고 신라로 갔다. 서라벌에 도착한 서동은 아이들을 불러 모아 선화공주가 서동과 밤이면 만나 사통(私通)한다는 내용의 서동요를 가르쳐 부르게 했다.

  이 노래는 금방 온 나라에 퍼지게 되어 마침내, 진평왕은 선화공주를 성 밖 먼 곳으로 유배를 보냈는데 왕후는 공주를 떠나보내면서 노자로 황금 한 말을 주었다.

  이렇게 되리라는 것을 기대했던 서동은 도중에서 공주를 기다려 동행을 하면서 공주를 아내로 삼는 데 성공하였다. 공주는 결혼한 후에야 서동이 바로 자기를 함정에 빠뜨린 장본인임을 알았으나, 이미 때가 늦었던 것이다.

  백제에 도착한 공주는 모후(母后)가 준 황금을 서동에게 주면서 살아갈 계획을 꾸미자고 권했다.

  “그게 무엇인데 그리 귀하단 말이오.”

  “이건 황금이라는 것으로 이것만 가지면 평생을 걱정 없이 살 수 있답니다.”

  “그런 것이라면 내가 마를 캐는 산 속에 얼마든지 있다오.”

  서동은 이튿날부터 금을 주워 왔는데, 얼마 후에는 금이 산처럼 쌓였다.

  공주는 많은 금을 얻자 신라에 계신 부모님께 보내고 싶었다. 그러나 그 금을 운반할 방법이 없어 용화산(龍華山) 사자사(師子寺)에 있는 지명법사(知命法師)에게 가 의논했다.

  지명법사는 그걸 신통술로 운반해 주겠다고 약속했다. 공주는 부왕(父王)에게 편지를 써 금과 함께 주었다.

지명법사는 약속대로 그 금을 신라 궁궐로 보냈다. 그 금을 받은 진평왕은 법사의 신통술을 기이하게 여겨 존경하고, 항상 안부를 물었다.

  서동은 이때부터 민심을 얻어 마침내 왕이 되니 그가 바로 백제 제30대 무왕이다. 후에 무왕은 선화공주의 소청에 따라 용화산 아래 큰 못을 메워 미륵사(彌勒寺)를 세우고 미륵상 셋을 안치했다. 용화산은 지금의 익산(益山)에 있는 미륵산(彌勒山)이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