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산문의 정수

삼국유사(三國遺事) - 처용랑(處容郞)과 망해사(望海寺)

※ '처용랑(處容郞)과 망해사(望海寺)'는 '삼국유사' 제2권에 실려 있다.

 

  신라 제49대 헌강왕(憲康王) 때 신라는 매우 태평하고 번화하여 초가집이 한 채도 없었다. 거리에는 항상 노랫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사철의 기후는 순조로워 매년 풍년이 들었다.

  어느 날, 왕은 신하들을 데리고 개운포(開雲浦)로 뱃놀이를 나갔다. 개운포는 지금의 울산이다.

  왕과 신하들이 놀이를 마치고 환궁하려는데 갑자기 날씨가 어두워져 행차할 수가 없었다. 감작스런 변괴에 놀란 왕은 일관(日官)을 불러 까닭을 물었더니 동해에 있는 용의 장난이니 좋은 일을 해서 풀어야 한다는 것이었다.

  헌강왕이 그 말을 듣고 즉시 근처에 절을 지으라는 명을 내렸더니 구름과 안개가 걷히는 것이었다. 그래서 그곳 지명을 개운포라 한 것이다.

  왕이 절을 지어 준다는 말에 기분이 좋아진 용왕은 그의 일곱 아들을 데리고 나와 왕의 덕()을 찬미하는 노래를 불렀다. 그리고 용왕도 처용이라는 아들 하나를 남겨 두어 왕의 정치를 돕게 하였다.

  궁궐로 돌아온 왕은 처용에게 미녀 한 사람을 골라 아내로 삼아 주고 급간(給干)이란 벼슬을 주었다.

  어느 날, 아름다운 처용의 아내를 사모한 역신(疫神)이 처용이 없는 틈을 타 몰래 동침을 하였다. 저녁 때 집으로 돌아온 처용은 두 사람이 누워 있는 것을 보고 밖으로 나와 이런 노래를 불렀다.

 

서라벌 밝은 달 아래 밤 늦도록 노닐다가

집에 와 자리 보니 다리가 넷이더라.

둘은 아내 다리인데 둘은 누구 것일까.

본디 내 아내지만 빼앗으려 하니 어찌할까.

 

  그러자 처용의 노래를 들은 역신은 형체를 드러내며 처용의 앞에 꿇어앉아 잘못을 비는 것이었다.

  “제가 공의 아내를 사모하여 죽을 죄를 지었는데도 공은 노여움을 나타내지 않으시니 감동하였습니다. 이후로는 맹세코 공의 형상을 그린 것만 보아도 그 집에 들어가지 않겠습니다.”

  이때부터 사람들은 처용의 얼굴이 그려진 그림을 문에 붙여 사귀(邪鬼)를 물리쳤다.

  헌강왕은 궁궐로 돌아와 용과의 약속대로 영취산(靈鷲山) 동쪽 기슭에 절을 짓고 이름을 망해사(望海寺)’라고 하였다. 혹은 이 망해사를 신방사(新房寺)라고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