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시가의 정수

적벽부 (전문/해석/원문파일)

적벽부.hwp
0.10MB
적벽부.pdf
0.11MB

 

적벽부

 

임술지추칠월기망(壬戍之秋七月旣望)에 적벽강(赤壁江) 배를 띄워 임기소지(任其所之) 노닐 적에 청풍(淸風)은 서래(徐來)하고 수파(水波)는 불흥(不興)이라.

 

술을 들어 객을 주며[擧酒屬客] 청풍명월(淸風明月) 읊조리고 요조지장(窈窕之章) 노래할 제 이윽고 동산(東山)에 달이 돋아 두우간(斗牛間)에 배회(徘徊)하니 백로(白露)는 횡강(橫江)하고 수광(水光)은 접천(接天)이라.

 

가는 곳 배에 맡겨[縱一葦之所如] 만경창파(萬頃滄波) 떠나가니 호호(浩浩)한 빈 천지(天地)에 바람 만난 저 돛대는 그칠 바를 몰라 있고[憑虛御風而不知其所止] 표표(瓢瓢)한 이내 몸은 우화등선(羽化登僊)되었세라.

 

취흥(醉興)이 도도(陶陶)하여 뱃전치며 노래할 제[扣舷而歌之] 그 노래에 하였으되 계도혜난장(桂櫂兮蘭奬)으로 격공명혜소류광(擊空明兮泝流光)이로다.

 

묘묘혜여회(渺渺兮余懷)여 망미인혜천일방(望美人兮天一方)이로다.

 

통소(洞簫)로 화답(和答)하니 고 소래 오오(嗚嗚)하여 여원(如怨) 여모(如慕) 여읍(如泣) 여소(如訴) 여음(餘音)이 요요(뇨뇨)하여 실같이 흐르나니[不絶如縷] 유학(幽壑)에 잠긴 어룡(魚龍) ()에겨워 춤을 추고 고주(孤舟)의 이부()들은 망부한(亡夫恨)을 못 이겨라.

 

추연(楸然)히 일어앉아 옛일을 생각하니 만사가 꿈이로다.

 

월명성희(月明星稀)에 오작(烏鵲)이 남비(南飛)하니 조맹덕(曹孟德)의 지은 시()요 서망하구(西望夏口) 동망무창(東望武昌) 산천이 상유(相繆)하여 울호창창(鬱乎蒼蒼)하였으니 맹덕(孟德)의 패()한 데요 형주(刑州)를 파()한 후에 강릉(江陵)으로 나려가니 축로(축로)는 일천리(一千里)요 정기(旌旗)는 폐공(蔽空)이라.

 

()을 비어 술 마시고 글을 지어[橫槊賦詩]읊을 적에 일세 영웅(一世英雄)이언마는 이제 간 곳 모를레라[而今安在哉].

 

후세(後世)에 태인 몸이 강상(江上)에 고기낚고 산간에 나무할 제 어하(魚鰕)로 짝을 하고 미록()으로 벗을 삼아 울울(鬱鬱)한 장부(丈夫) 뜻이 술잔을 의지코자 기부유어천지(부유於天地)하니 묘창해지일속(渺滄海之一粟)이라 무궁한 천리장강(千里長江) 어이 아니 부러우리.

 

이 몸이 신선(神仙)되어 강상명월(江上明月) 이 가운데 장생불로(長生不老) 못할 일 한 없이 슬퍼하랴.

 

흉중(胸中)에 쌓인 한을 통소(洞簫)로 붙임이라.

 

아서라 모두 다 취담(醉談)일다.

 

유유(悠悠)한 세상사를 덧없다 한을 말고 이윽히 눈을 들어 우주(宇宙)를 살펴보라.

 

쉬지 않고 흐르는 물 간다 한들 끊어지고[逝者如斯而未嘗往也] 기울었다 돋는달[盈虛者如彼]도 아주 소장(消長)되단 말가.

 

덧없다 볼작시면 천지가 일순(一瞬)이요 변함없다 생각하면 만물이 무궁이라.

 

강상청풍(江上淸風)과 산간명월은 귀로 들어 소리 되고[耳得之而爲聲] 눈에 뵈어 경개(景槪)로다.

 

취지무금(取之無禁) 용지불갈(用之不竭) 하느님의 무궁조화(無窮造化) 무엇이 서러워 탄식(嘆息)인가.

 

허무(虛無)한 인생이 덧없이 늙어 과거지사가 꿈이로구나 생각을 하니 인생무상이 서러워 나 어이나 할거나

 

 

1. 이해와 감상

노래보다 문학작품으로 널리 알려진 "적벽부"는 남도창(南道唱)의 단가로 불리고 있고, 서도창으로는 이창배(李昌培)가 처음으로 부른 노래이다.

 

2. 보충 자료

송나라의 소식(蘇軾)이 지은 명문인데, 원문에 토를 달고 새겨서 우리말로 부르기 좋도록 만든 것이다. 적벽부는 이창배(李昌培)공명가(孔明歌)같은 서도잡가를 본떠 새로이 만들어 부르게 되었다.

일정한 장단은 없고 사설에 따라 장구를 짚어나가는데 주로 3박을 근간으로 하고 다소 들쭉날쭉하다. 음악은 서도의 엮음식으로 하며 뒤에는 수심가조로 끝을 여민다.

 

* 참고문헌 : 한국가창대계(이창배, 홍인문화사, 19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