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현대시의 정수

오다 가다 - 김억 (전문/해석/원문파일)

오다 가다.hwp
0.02MB
오다 가다.pdf
0.05MB

오다 가다 길에서

만난 이라고

그저 보고 그대로

갈 줄 아는가.

 

뒷산은 청청(靑靑)

풀 잎사귀 푸르고

앞바단 중중(重重)

흰 거품 밀려든다.

 

산새는 죄죄

제 흥()을 노래하고

바다엔 흰 돛

옛 길을 찾노란다.

 

자다 깨다 꿈에서

만난 이라고

그만 잊고 그대로

갈 줄 아는가.

 

십 리 포구(十里浦口) 산 너먼

그대 사는 곳

송이송이 살구꽃

바람과 논다.

 

수로 천 리(水路千里) 먼먼 길

왜 온 줄 아나.

예전 놀던 그대를

못 잊어 왔네.

 

(조선시단창간호, 1929.11.)

 

* 김억 : 김희권. 안서. 안서생. AS. 평안북도 정주 출생(1886), 오산중학 입학(1907), 게이오 의숙 영문과 입학(1913), 동경 유학생 기관지인 학지광 미련, 이별 발표(1914), 오산학교 교사로 부임, 김소월 지도(1916), 폐허, 창조 동인(1920), 동아일보사 학예부 기자(1924), 6·25 때 납북(1950)

 

해석

이 시는 산수와 조화된 한국인 특유의 인정미를 7·5조의 가락으로 노래하고 있다. 그리움을 노래하는 시들이 대체로 애틋하고 침울한 분위기를 띠는 데 반해, 이 시는 경쾌한 3음보 리듬을 바탕으로 아름다운 자연과 화자의 정감이 어우러져 밝고 정겨운 느낌을 주고 있다.

이 작품은 자연과의 합일과 과거 속으로의 회귀 욕구가 담담한 독백체 어투로 잘 나타나 있다.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라는 말처럼, 인연을 중시하는 한국인의 심성 구조가 그대로 투영되어 있는 이 작품에서 화자는 오다 가다 길에서 / 만난 이를 못 견디게 그리워한다. ‘자다 깨다 꿈에서까지 만날 정도로 정든 그 사람이, ‘짙어가는 풀잎처럼, ‘밀려드는 파도처럼 그리워 화자는 마침내 십리 포구 산 너머찾아 나선다. 화자는 그와의 인연을 그만 잊고 그대로 / 수 없는 소중한 것으로 생각하면서도 겉으로는 청청’, ‘중중’, ‘죄죄와 같은 음성 상징어와 청백의 대비를 통한 선명한 이미지 제시 방법으로써 밝고 경쾌하게 표현하고 있다. 마치 죄죄 / 제 흥을 노래하산새처럼, ‘송이송이 / 바람과 노살구꽃향기처럼, ‘십리 포구 산 너머를 향하는 화자의 발걸음은 하늘을 날아오를 듯 가벼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