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현대시의 정수

삭주 구성 - 김소월 (전문/해석/원문파일)

삭주 구성.hwp
0.02MB
삭주 구성.pdf
0.05MB

물로 사흘 배 사흘

먼 삼천 리

더더구나 걸어 넘는 먼 삼천 리

삭주 구성(朔州龜城)은 산()을 넘은 육천 리요

 

물 맞아 함빡이 젖은 제비도

가다가 비에 걸려 오노랍니다.

저녁에는 높은 산

밤에는 높은 산

 

삭주 구성은 산 넘어

먼 육천 리

가끔가끔 꿈에는 사오천 리

가다오다 돌아오는 길이겠지요

 

서로 떠난 몸이길래 몸이 그리워

님을 둔 곳이길래 곳이 그리워

못 보았소 새들도 집이 그리워

남북으로 오며가며 아니합디까

 

들 끝에 날아가는 나는 구름은

반쯤은 어디 바로 가 있을 텐고

삭주 구성은 산 넘어

먼 육천 리

 

(개벽40, 1923.10.)

 

 

* 김소월 : 김정식(金廷湜). 평안북도 구성 출생(1902), 오산학교 중학부 입학(1915), 배재고보 졸업(1923), 영대(靈臺)동인 활동(1924), 자살(1934).

 

해석

이 시는 삭주 구성에 대한 그리움을 3음보 율격에 담아낸 작품이다. ‘삭주 구성물 맞아 함빡이 젖은 제비도 / 가다가 비에 걸려 오는 곳이요, ‘산 넘어 / 먼 육천 리인 곳으로, 꿈속에서도 쉽게 갈 수 없는 불귀지지(돌아갈 수 없는 땅)’의 장소이다. 그러나 화자는 삭주 구성을 그리워하고 있다. 화자가 존재하는 이곳은 고달픈 생활의 연속인 현실의 공간이자 임이 없는 부재의 공간이지만, 화자가 그토록 가고 싶어하는 삭주 구성은 다시는 돌아올 수 없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임이 계신 곳이자 안식과 평화를 가져다 주는 동경의 공간이기 때문이다.

은 화자가 지향하는 삭주 구성을 가로막고 있는 장애물로서 이를 넘으면 삭주 구성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극복의 대상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