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산문의 정수

삼국유사(三國遺事) -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

※ '연오랑(延烏郞)과 세오녀(細烏女)'은 '삼국유사' 제1권에 실려 있다.

 

  신라 제8대 아달라왕(阿達羅王) 4년에 있었던 일이다.

  연오랑 부부는 바닷가에서 고기를 잡고 해초를 뜯으며 단란하게 살고 있었다.

  그날도 연오랑은 바다에 나가 해초를 따고 있었는데, 갑자기 바다 위에서 큰 바위 하나가 떠 내려오고 있었다. - 일설에는 바위가 아니고 큰 물고기라고 한다 연오랑이 호기심에 그 바위 위에 올라 탔더니 바위는 큰 바다로 흘러들어 어디론가 떠내려가는 것이었다.

  바위는 일본의 어느 해안에 닿았다. 일본 사람들은 바위를 타고 온 연오랑이 범상한 사람이 아니라 하여 자기들의 왕으로 추대했다.

  한편, 집에 있던 세오녀는 남편이 돌아오지 않자 걱정이 되어 바닷가로 나갔다. 바닷가 어떤 바위 위에 남편의 신발이 가지런히 놓인 것을 발견한 세오녀는 남편이 죽었는가 의심했다.

  세오녀가 바위 위에 오르자 이번에도 연오랑의 경우처럼 바위가 둥실 떠 흘러내려가 연오랑이 닿았던 항구에 닿았다. 세오녀를 발견한 일본 사람들은 그런 사실을 왕이 된 연오랑에게 알렸다. 이렇게 되어 그들 부부는 일본에서 다시 만나 세오녀는 귀비(貴妃)가 되었다.

  그런데 연오랑과 세오녀가 일본으로 떠난 뒤 신라에서는 괴변이 일어났다. 해와 달이 빛을 잃어 어둠이 계속되는 것이었다. 왕이 일관(日官)을 불러 괴변이 일어난 까닭을 물으니 그의 대답은 이러했다.

  “우리나라에 내려와 있던 해와 달의 정기(精氣)가 일본으로 건너가 버렸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그래서 왕은 일본에 사신을 보내 연오랑과 세오녀를 돌아오도록 타일렀다. 연오랑은 사신에게 이렇게 말하였다.

  “우리 부부가 일본에 온 것은 하늘의 명이오. 돌아갈 수는 없지만 좋은 방법이 있소.”

  그리고는 세오녀가 짠 가는 명주를 주면서 신라로 돌아가 하늘에 제사를 지내면 된다고 가르쳐 주었다.

  사신들이 명주를 갖고 돌아와 하늘에 제사를 지냈더니, 해와 달이 다시 빛을 발하였다. 왕은 그 명주를 국보를 삼아 잘 간수했는데 그것을 보관한 창고를 귀비고(貴妃庫), 하늘에 제사를 지냈던 곳을 영일현(迎日縣)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