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현대시의 정수

서도 여운 - 김소월 (전문/해석/원문파일)

서도 여운.hwp
0.02MB
서도 여운.pdf
0.06MB

 

공중(空中)에 떠다니는

저기 저 새여

네 몸에는 털 있고 깃이 있지

 

밭에는 밭곡식

논에 물벼

눌하게 익어서 수그러졌네

 

초산(楚山) 지나 적유령(狄踰嶺)

넘어선다

짐 실은 저 나귀는 너 왜 넘니?

 

(동아일보, 1925.1.1.)

 

 

* 김소월 : 김정식(金廷湜). 평안북도 구성 출생(1902), 오산학교 중학부 입학(1915), 배재고보 졸업(1923), 영대(靈臺)동인 활동(1924), 자살(1934).

 

해석

소월은 소박한 전원시 또는 동시적 경향(‘엄마야 누나야’), 애틋한 사랑시(‘예전엔 미처 몰랐어요’), 향토적 서정시(‘삭주구성, ’), 가족주의시(‘부모’), 설화적 민속시(‘접동새’) 등 넓은 시 세계를 보여준다. ‘서도 여운 - 옷과 밥과 자유는 현실에 대한 비판적 인식이나 저항 의지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위에서 언급한 경향과는 다소 차이가 있다.

이 시는 , 곡식, 나귀를 바라보는 관찰자(화자)옷과 밥과 자유를 상실한 채 절망하고 탄식하고 있다. 제목과 직접적인 관련이 없는 시어의 선택으로 인해 다소 모호한 것처럼 보이지만, 시인은 우회적이고 간접적인 표현을 통해 에서 , ‘곡식에서 , ‘나귀에서 자유를 유추시키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새에게는 털 있고 깃이 있어 마음대로 공중에 떠다니지만, 식민지 백성으로서의 화자는 한 벌 갖고 있지 못한 곤궁한 처지이다. ‘눌하게 익어서 수그러밭곡식물벼는 일제의 토지 수탈 정책으로 인해 농토를 빼앗긴 화자, 즉 식민지 백성들에게는 그림의 떡이다. ‘초산 지나 적유령 / 넘어서나귀는 고단한 삶을 살아가는 화자의 고통스런 모습을 상징한다. ‘너는 왜 넘니?’라는 반문의 마지막 시행에서 굴레와 같은 코뚜레와 으로 표상되는 나귀를 통해 자유를 잃고 고달픈 삶을 살아가는 백성들의 비극적 모습을 유추할 수 있다. ‘자유라는 최소한의 생존권마저 빼앗기고 살아가던 당시의 식민지 상황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