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문법의 정수

중세국어 문자 - 1. 훈민정음

중세국어 문자 - 1. 훈민정음.pdf
0.08MB

 

1. 훈민정음

  - 의미

    =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

  - 명칭 사용

    = 글자 이름

    = 책 이름

  - 다른 이름

    = 언문(諺文) : 15세기 당대부터 주로 쓰인 명칭

    = 반절(反切) : 최세진의 훈몽자회에 나온다.

    = 한글 : 20세기 초 주시경 선생이 한글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이래 오늘날 정식 명칭이 되었다.

 

2. 창제 연대

  - 세종 25년 음력 12(1443년 양력 14441)

 

3. 반포 연대

  - 세종 28년 음력 9월 상한(1446년 양력 10월 상한)

 

4. 창제자

  - 세종대왕

 

5. 제자 원리

  - 초성(初聲) : 17

    = 기본 원리 : 발음 기관 모양을 본떴다. = 상형(象刑)

    = 가획(加劃)의 원리

상형 기본자 가획자 이체자
아음(牙音) (옛이응)
설음(舌音) ,  
순음(脣音) ,  
치음(齒音) ,  
후음(喉音) ,  
반설음(半舌音)    
반치음(半齒音)    

      ■ 牙音 象舌根閉喉之形

      ■ 舌音 象舌附上㗁之形

      ■ 脣音 象口形

      ■ 齒音 象齒形

      ■ 喉音 象喉形

 

- 중성(中聲) : 11

  = 기본 원리 : , , 삼재(三才)의 모양을 본떴다. (=상형)

  = 기본자의 합성

상형
기본자(基本字)
초출자(初出字) , , ,
재출자(再出字) , , ,

 

- 종성(終聲)

  = 따로 만들지 않고 초성을 다시 사용했다. 종성부용초성(終聲復用初聲).

 

 

 

훈민정음 초성 제자 원리

  - 상형의 원리 (발음 기관 상형)

  - 가획의 원리

    = 어떤 글자의 음보다 성출초려(聲出稍厲, 소리가 약간 셈)’한 음을 표시하는 글자는 원래의 글자에 획을 더하여 만든다는 원리

      ■ ㄱ → ㅋ

      ■ ㄴ → ㄷ → ㅌ

        □ 성출초려라는 자질을 표시 훈민정음은 자질 체계

    = 가획자 : 9

    = 이체자 : 3

      ■ 표면적으로 글자의 모양이 다른 글자와 이질적이기 때문에 붙여진 명칭이다. ‘, ‘, ‘에 획을 더하여 만들었다고 볼 수 있으나 은 소리의 세기가 같고, ‘이나 은 오히려 ’, ‘보다 소리가 약하다. 즉 표면적으로는 획이 더해져 가획 같아 보이나 성출초려한 소리를 드러냄이 아니었기에 가획의 원리에 해당하지 않는다. (가획의 뜻이 없다.)

 

훈민정음 중성 제자 원리

  - 상형의 원리 (, , 삼재(三才) 상형)

  - 합성

    = 기본자 : , ,

    = 초출자 : , , ,

    = 재출자 : , , ,

      ■ 중성자 제자 원리

        □ 상형에 의해 만들어진 3개의 기본자끼리 합성[合而聲]’의 방식으로 조합하여 초출자를 만들어 내고(- 초출자의 원리), 다시 기본자 와 초출자를 조합하여 재출자를 만들어 냈다. (- 재출자의 원리)

      ■ 중성 제자 모양 방식

        □ 재출자는 초출자 앞에 반모음 [j]’가 결합된 이중 모음을 나타낸다. 음성학적으로나 역학적 관점에서 보자면 재출자는 초출자 앞에 사람을 본 딴 가 결합되어야 마땅하나 그러지 않고 실제로는 초출자에 를 더하여 , , , 와 같은 모양을 지니게 되었다.

  제자 방식 글자의 종류
기본자 상형 , ,
초출자 기본자의 합성 , , ,
재출자 원리 : ‘와 초출자의 합성
모양 : 초출자와 의 합성
, , ,

 

단모음의 음가와 대립 관계

모음 象形
(혀를 오그라지게 해서 조음하고 소리는 깊다.)
小縮 不深不淺 (혀를 조금 오그라지게 해서 조음하고 소리는 깊지도 얕지도 않다.)
不縮 (혀를 오그라들지 않게 조음하고 소리가 얕다.)

  ■ ㅗ 口蹙 (와 한 종류인데 입을 오므린다.)

  ■ ㅏ 口張 (와 한 종류인데 입을 벌린다.)

  ■ ㅜ 口蹙 (와 한 종류인데 입을 오므린다.)

  ■ ㅓ 口張 (와 한 종류인데 입을 벌린다.)

 

모음 사각도

  - 첨부파일 참조

 

참고

  - 첨부파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