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문법의 정수

중세국어 표기법 - 2. 종성 표기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표기법

중세국어 표기법 - 2. 종성 표기법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표기법.pdf
0.04MB

1. 이어적기 (=연철)

- 표기의 특징

= 받침이 있는 체언이나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붙을 때 소리 나는 대로 이어 적는다.

체언+조사 : ᄉᆡᆷ+ᄉᆡ미, 바ᄅᆞᆯ+바ᄅᆞ래

어간+어미 : +마가, +ᄋᆞᆫ노ᄑᆞᆫ

- 나타난 시기 : 15세기

- 중세에는 원칙적으로 이어적기를 한다.

- 참고) 체언과 체언이 결합할 때에는 끊어적기를 하였다. (스믈여듧)

- 참고) 한자음만 나오면 이어적기를 하였다. (듀ᇰ귁에듀ᇰ귀게)

 

2. 끊어적기 (=분철)

- 표기의 특징

= 받침이 있는 체언이나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붙을 때 이어 적지 않고 끊어 적는다.

체언+조사 : ᄉᆡᆷ+ᄉᆡᆷ이, 바ᄅᆞᆯ+바ᄅᆞᆯ애

어간+어미 : +막아, +ᄋᆞᆫ높ᄋᆞᆫ

- 나타난 시기 : 15세기

- 중세에 나타나기도 하는데, ‘월인천강지곡에 주로 나타난다. 월인천강지곡은 , , , , 등 울림소리로 끝난 경우에 끊어적기가 쓰였다. (월인천강지곡은 받침에 이 쓰이지 않았다)

= : 눈ᅌᅦ, 일ᄋᆞᆯ, ᄭᅮᆷ을, 죠ᇰᄋᆞᆯ, 즈ᇫ을

- 현대에는 끊어적기를 한다.

 

3. 거듭적기 (=중철, 혼철)

- 표기의 특징

= 받침이 있는 체언이나 용언 어간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조사나 어미가 붙을 때 받침인 자음을 뒤 음절의 초성에도 적는다. 즉 종성과 뒤 음절의 초성에 각각 적는다.

체언+조사 : ᄉᆡᆷ+ᄉᆡᆷ미, 바ᄅᆞᆯ+바ᄅᆞᆯ래

어간+어미 : +막가, +ᄋᆞᆫ높ᄑᆞᆫ놉ᄑᆞᆫ

- 나타난 시기 : 16

- 결과적으로 이어적기와 끊어적기의 중복이다.

 

재음소화 표기

- 근대에는 깊은깁흔으로, ‘붙어붇허처럼 +으로, ‘+으로 2차 분석하여, 즉 재음소화하여 과잉 해체한 표기가 많다. 재음소화란 이처럼 , , , +, +, +, +으로 2차 분석하여 표기하는 것을 말한다.

- : +ᄋᆞᆫ놉ᄒᆞ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