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문법의 정수

중세국어 표기법 - 4. 사잇소리의 쓰임

중세국어 표기법 - 4. 사잇소리의 쓰임.pdf
0.04MB

1. 사잇소리는 다음 경우에 일어났다.

- 합성어(명사구도 해당함)의 사잇소리 표기를 말한다.

- 체언 뒤 (: ᄇᆡᆺ곶)

- 울림소리 뒤 (: ᄀᆞᄅᆞᇝ ᄀᆞᅀᅢ)

 

2. 사잇소리가 쓰이는 위치

- 앞의 단어에 붙인다. (: 긼ᄀᆞᅀᅢ)

- 뒤의 단어에 붙인다. (: 혀쏘리)

- 가운데 독립시킨다. (: ᄍᆞᆼ)

 

3. 15세기 문헌에는 사잇소리의 쓰임이 복잡하였다.

- 순수 국어와 한자어에서 그 쓰임이 달랐다. (: 누ᇈ믈, ᄍᆞᆼ)

 

4. 성종 때(두시언해)부터는 사잇소리를 으로 통일하여 적었다.

- : 고지 누ᇇ므를

 

 

사잇소리의 용례

구분 조건 용례
선행음 사잇소리 후행음
한자어 아래 안울림소리 ᅘᅩᇰᄍᆞᆼ
안울림소리 ᄍᆞᆼ
안울림소리 ᄍᆞᆼ
안울림소리 두ᇢᄍᆞᆼ
안울림소리 ᄍᆞᆼ
울림소리 울림소리 天子ᄆᆞᅀᆞᆷ,
순수 국어 아래 울림소리 안울림소리 긼ᄀᆞᅀᅢ, ᄇᆡᆺ곶, 엄쏘리
울림소리 울림소리 누ᇈ믈, 나라ᇫ 일훔
하ᄂᆞᇙ ᄠᅳᆮ
안울림소리 누ᇆᄌᆞᅀᆞ(=눈동자)
안울림소리 사ᄅᆞᇜ서리(=사람 사이)

- ‘용비어천가훈민정음 언해에는 (주로 한자어의 경우) 선행어의 말음이 불청불탁자인 경우 그것과 같은 위치(, , , )의 전청자로써 표기하는 규칙이 있었다. (: ᄍᆞᆼ, ᄍᆞᆼ, ᅀᅣᇰᄍᆞ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