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문법의 정수

중세국어 표기법 - 3. 한자음 표기법

중세국어 표기법 - 3. 한자음 표기법.pdf
0.04MB

1. 동국정운식 한자음 표기

- 동국정운(東國正韻, 세종29년 완성, 30년 간행. 중국 홍무정운(洪武正韻)의 영향을 받음)이라는 책에 나오는 한자음을 말한다.

- 세종이 시도한 개신음, 이상음 표기이다.

- 세종, 세조 때의 문헌에 적용되었다.

대표적
1. 중국 원음에 가깝게 적었다.
- 便, ᅙᅡᆫ
 
2. 성음법(=음절 이루기) 원칙에 충실
- 초성, 중성, 종성을 모두 갖추어 표기하였다.
- 종성이 없는 경우 이나 을 썼다. 이때 , 은 음가가 없다. (: , 두ᇢ)
 
3. 이영보래
- 현실음이 로 끝나는 한자의 경우 을 보충하여 ㄹㆆ으로 적어 입성입을 표시하였다 (: 워ᇙ, ᅀᅵᇙ)

 

2. 한자음 표기 방법

- 한자의 각 글자마다 작은 크기의 한자음을 붙였다.

= :

- 한자음을 크게 먼저 적고, 작은 크기의 한자를 다는 방식 (‘월인천강지곡에서만 나타남)

= : 이노ᄒᆞᆫᄃᆞᆯ또ᇢ거츨ᄊᆡ

- 한자음을 달지 않은 문헌

= 용비어천가 (: 海東 六龍이 ᄂᆞᄅᆞ샤)

= 두시언해 (: 岐王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