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문법의 정수

중세국어 표기법 - 1. 종성 표기법 (중세, 근대, 현대 국어)

중세국어 표기법 - 1. 종성 표기법 (중세, 근대, 현대 국어).pdf
0.05MB

1. 중세 국어 종성 표기법

- 표음적 표기법

= 기본 형태를 밝혀 적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적는 표기

= 중세의 대부분 문헌에서 종성은 원칙적으로 8자만 허용되었다. (=8종성법)

- 표의적 표기법

= 기본 형태를 밝혀 적는 표기

= 중세에 부분적으로 나타나며, 일반적인 표기법은 되지 못하였다. 특히 용비어천가월인천강지곡에 주로 나타난다.

: [], 깊고[], 맞나ᅀᆞᄫᆞ며[]

= ‘은 종성에 쓰인 예가 없다.

= 반치음이나 겹받침이 종성으로 적히는 경우도 있다.

: ᄀᆞᇫ[] 업스시니, 믈 ᄇᆞᆲᄃᆞᆺᄒᆞ고[], [], ᄒᆞᆰ, , 아ᇇ거늘

= 종성 글자의 발음

ᄃᆞᆰ의 경우 [ᄃᆞᆨ]으로 발음되었다. 자음군단순화가 일어나서 이 탈락하기 때문이다.

ᄇᆞᆰ게의 경우 [ᄇᆞᆯ께]로 발음되었다. 받침을 가진 용언 어간의 경우, 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이 남고 이 떨어진다. 다만 음운 규칙의 적용 순서가 평파열음화 경음화 자음군단순화 비음화이기 때문에 이 어미 []로 교체시킨 후에 탈락한다.

 

2. 근대 국어 종성 표기법

- 표음적 표기법

- 근대의 대부분 문헌에는 소위 7종성법이 나타난다.

 

3. 현대 국어 종성 표기법

- 한글 맞춤법 통일안 (1933) 이후

- 표기상 : 기본 형태를 밝혀 적는다. (표의적 표기)

= : , 깊고, ,

- 발음상 : 7대표음(, , , , , , )을 인정한다. (표음적 표기)

= : [], 깊고[깁꼬], [], []

 

 

8종성법 (=8종성가족용)

- 훈민정음 해례의 종성해에 있는 규정

- ‘, , , , , , , 8자만 종성으로 사용해도 가히 족하다는 규정

- 대표음화를 반영한 것이다.

= , ㅋ → ㄱ

= , ㅌ → ㄷ ; []

= , ㅍ → ㅂ ; 높고[]놉고

= ,,,ㅿ → ㅅ ; [], ᄉᆞᄆᆞᆾ디[] ᄉᆞᄆᆞᆺ디, 여ᇫ[]

당시는 음절말에서도 이 엄격히 구별되었다.

= ㅎ → 주로 으로 대표음화. ‘이 만나는 경우는 으로 나타남. ; 놓ᄉᆞᆸ고[]노ᄊᆞᆸ고, 놓노니녿노니, 닿ᄂᆞ니라닫ᄂᆞ니라 다ᄔᆞ니라

- 중종 때 최세진의 훈몽자회에서 초성종성통용8라고 규정하였다.

 

7종성법

- 17세기 말부터 20세기 초(1933년 한글 맞춤법 통일안 이전)까지 적용된다.

- ‘, , , , , , 7자만 종성으로 사용된다. ‘과 발음이 구별되지 않으므로 으로 통일시켜 적는다.

= : []>, [場所]>, 믿고[]>밋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