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문법의 정수

중세국어 문자 - 2. 문자 체계

중세국어 문자 - 2. 문자 체계.pdf
0.04MB

1. 초성 : 17

- 훈민정음 초성 17체계 + 전탁 6(동국정운 23 자모 체계)

소리의 성질 (조음방식)
발음 위치 (조음 위치)
전청
(예사소리)
차청
(거센소리)
불청불탁
(울림소리)
전탁
(된소리)
엄쏘리(=어금닛소리)(아음)
혀쏘리(=혓소리)(설음)
입시울쏘리(=입술소리)(순음)
니쏘리(=잇소리)(치음) ,   ,
목소리(=목구멍소리)(후음)
반혀쏘리(=반혓소리)(반설음)      
반니쏘리(=반잇소리)(반치음)      

- 전청은 예사소리, 차청은 거센소리, 불청불탁은 울림소리에 대체로 일치한다.

- ‘훈민정음 해례본예의에는 전청의 ,,,,과 차청의 을 각각 나란히 쓰면, ‘,,,,,등 전탁음이 된다고 하였다. 이러한 전탁음은 현대 문법의 된소리와 대응된다.

- 설음과 순음과 후음에서 불청불탁으로 기본 문자들을 삼은 이유는 그 소리가 가장 약하기 때문이다.

- 치음에서 은 비록 둘 다 전청이지만 에 대하여 그 소리가 약하기 때문에 기본자로 삼았다.

- 아음에서 불청불탁을 기본자로 삼지 않은 것은 그 소리가 후음의 과 비슷하기 때문이다.

 

2. 중성 : 11

소리의 성질
분류
양성 음성 중성
단모음 , , ,,
이중모음 , ,  

- ‘훈민정음 해례본중성해에서는 , , , , , , , ᅟᅹ, , 뿐만 아니라, 합해서 쓰는 것[합용자]으로 , , , , , , , , , , , , , , , , , 18자를 들어 보인다.

 

3. 종성

- 종성부용초성

= ‘훈민정음 해례본의 종성해에서는 , , , , , , , 팔자가족용야라고 하여 8종성법의 원칙을 제시하였다.

= 표기의 규정보다는 제자의 규정으로 봄.

 

중성자

- 훈민정음 중성 11: ㆍ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 2자 합용자 : ㅘ ㆇ ㅝ ㆊ

- 상합자

= 한 글자로 된 중성으로서 와 서로 어울린 10: ㆎ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 (1자 중성)

= 두 글자로 된 중성으로서 와 어울린 4: ㅙ ㅞ ㆈ ㆋ (2자 중성)

- 중성 29

ㆍ ㅡ ㅣ

ㅗ ㅏ ㅜ ㅓ

ㅛ ㅑ ㅠ ㅕ

ㅘ ㅝ ㆇ ㆊ

ㆎ ㅢ ㅚ ㅐ ㅟ ㅔ

ㆉ ㅒ ㆌ ㅖ

ㅙ ㅞ ㆈ ㆋ

- 변방, 어린아이의 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