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문법의 정수

중세국어 문자 - 3. 자모(字母, 낱글자)의 읽기

중세국어 문자 - 3. 자모의 읽기.pdf
0.06MB

1. 훈민정음 창제 당시

- 아무런 규정이 없으므로 훈민정음 언해본의 용례로 미루어 짐작할 수밖에 없다.

- 초성

= ‘훈민정음 언해본ᄂᆞᆫ, ᄂᆞᆫ, ᄂᆞᆫ ···’ 과 같이 쓰인다. ‘ᄂᆞᆫ이란 조사는 양성 모음이나 중성 모음 의 뒤에 쓰이는 조사이고, ‘훈몽자회에도 초성은 를 붙여 읽는 예를 붙인 것으로 보아, ‘, , ᅌᅵ ; , , ; , , ; , , ; ᅙᅵ, , ; , ᅀᅵ로 읽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중성

= ‘훈민정음 언해본ᄂᆞᆫ, , ᄂᆞᆫ ···’ 등의 예가 나와 있다. 따라서 중성은 그 소리값에 준해서 읽었다.

 

2. 훈몽자회의 예 (훈몽자회 : 조선 중종 22(1527)에 최세진이 지은 한자 학습서)

- 초성 종성 통용 8

글자
명칭 其役 尼隱 梨乙 眉音 非邑 里凝

= , 는 한자음이 아닌 한자의 뜻을 우리말로 읽는다는 뜻으로 O표를 ᅟᅢᆻ다. 한자음에는 , 의 종성이 없기 때문이다.

- 초성 독용 8

글자
명칭  

= 는 한자의 뜻을 우리말로 읽는다는 뜻이다.

- 중성 독용 11

글자
명칭
 
不用終聲

 
只用中聲

 
不用初聲

 

3. 198831일 이후

- 문교부의 한글 맞춤법4항에 자모의 순서와 이름을 정하여 놓았다.

 

 

훈민정음 초성 이름

- 훈민정음 초성 ’, ‘’, ‘의 이름

= ‘(니은), (리을), (미음), (비읍), (이응)’처럼 을 기윽으로, ’디읃으로 시읏으로 하지 않고 각각 기역, 디귿, 시옷으로 한 이유

■ ㄱ의 경우

둘째 음절 을 적을 한자가 없었다. 즉 당시의 한자음 중에는 이 없었다.

그래서 종성이 인 다른 한자 중 ()’을 선택하여 표시함으로써 기역이 되었다.

■ ㄷ의 경우

당시에는 으로 끝나는 한자음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래서 한자의 훈을 빌려 을 표시하게 되었다.

의 훈인 귿’(현대 국어 15세기 당시에는 인데 8종성법에 의해 귿이 됨)을 사용하게 되었다.

■ ㅅ의 경우

당시에는 으로 끝나는 한자음이 존재하지 않았다.

그래서 한자의 훈을 빌려 을 표시하게 되었다.

의 훈인 을 사용하게 되었다.

= ‘, , 에 해당하는 한자가 없어서 그와 유사한 음 또는 뜻을 가진 한자를 빌려 썼다.

= ‘의 경우 비슷한 음의 한자 (부릴 역)’을 빌려 썼다.

= ‘, 의 경우 (귿긑 말), (옷 의)’의 뜻을 빌려 각각 귿, 으로 대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