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어의 정수/고전시가의 정수

우부가 (전문/해석/원문파일) 우부가 - 작자미상 내 말씀 미친 소리인가 저 화상을 구경허게 → 3인칭 화자를 통해 대상과 거리를 둠 * 3인칭 화자의 소개 남촌 한량 개똥이는 부모 덕에 편이 놀고 호의호식 무식허고 미련허고 용통*하야 눈은 높고 손은 커서 가량* 없이 주제 넘어 시체*따라 의관하고 남의 눈만 위하것다 → 유행을 따르는 사치스런 생활 긴긴 봄날 낫잠자기 아침저녁으로 반찬 투정 매팔자*로 무상 출입 매일 취해 게트림*과 → 무위도식하며 방탕하게 사는 모습 이리 모여 노름 놀기 저리 모여 투전질에 기생첩 치가*하고 오입쟁이* 친구로다 사랑에는 조방꾸니* 안방에는 노구*할미 조상이름 떨치세 하고 세도 구멍 기웃기웃 → 개똥이가 양반 출신임을 알 수 있음 염량*보아 진봉*허기 재업*을 까불니고 허욕으로 장사허기 남의 빚이 태..
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 황진이 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 황진이 동지ㅅ달 기나긴 밤을 한 허리를 버혀 내여 춘풍 니블 아래 서리서리 너헛다가 어론* 님 오신 날 밤이여든 구뷔구뷔 펴리라 * 임을 떠내보낸 후의 회한 * 어론 : 사랑하는 갈래 : 평시조 성격 : 감상적, 낭만적 주제 : 임을 향한 기다림과 사랑 표현상의 특징 : - 추상적인 개념(시간)을 구체적인 사물로 형상화함 화자 : 임을 그리워하며 기다리는 이 시적 상황 : 임과 함께하고 싶은 소망을 참신한 비유를 들어 노래하고 있다. 정서 : 그리움 태도 : 낭만적
어져 내 일이야~ - 황진이 어져 내 일이야~ - 황진이 어져* 내 일이야 그릴 줄을 모로던가 이시라 하더면 가랴마는* 제 구태여* 보내고 그리는 정은 나도 몰라 하노라. * 임을 떠내보낸 후의 회한 * 어져 : 아아 (감탄사) * 가랴마는 : 갔겠냐마는 * 제 구태여 : 첫째, 주체를 '임'으로 생각하는 '도치법'으로 볼 수 있다. '가랴마는 제 구태여'로 보아 '임이 구태여 갔겠냐마는'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다. 둘째, 주체를 '나'로 생각하는 '행간 걸침'으로 볼 수 있다. '제 구태여 / 보내고'로 보아 '내가 구태여 보내고'의 의미로 해석하는 것이다. 갈래 : 평시조 성격 : 애상적, 감상적 주제 : 이별의 회환과 그리움 표현상의 특징 : - 중의적 표현(제 구태여)을 통해 주제 의식을 강조 화자 : 이별한 '나' 시적 상..
청산은 내 뜻이오~ - 황진이 청산은 내 뜻이오~ - 황진이 청산은 내 뜻이오 녹수는 님의 정이 녹수 흘러간들 청산이야 변할손가 녹수도 청산을 못 니져 우러 예어* 가는고 * 임을 향한 변함 없는 사랑 * 예다 : '가다'를 예스럽게 이르는 말 갈래 : 평시조 성격 : 애상적, 감상적, 상징적 주제 : 임을 향한 변함없는 사랑 표현상의 특징 : - 불변하는 청산과 변화하는 녹수를 대조하여 주제 의식을 드러내고 있다. 화자 : 임을 사랑하는 '나' 시적 상황 : 화자가 임에 대한 변함 없는 사랑을 노래함과 동시에, 임이 화자 자신을 잊지 않기를 바라고 있다. 정서 : 애상적 태도 : 애상적
대쵸 볼 불근 골에~ - 황희 대쵸 볼 불근 골에~ - 황희 대추 볼 붉은 골에 밤은 어이 떨어지며 벼 뵌 그루터기에 게는 어이 다니는고 술 익자 체 장수 돌아가니* 아니 먹고 어이리 * 가을날 풍요로운 농촌의 모습과 그 속에서 풍류를 즐기는 화자 * 체 장수 돌아가니 : 체를 팔고 돌아가니 갈래 : 평시조 성격 : 풍류적, 낭만적, 전원적 주제 : 농촌 생활의 풍요로움과 흥취 표현상의 특징 : - 설의법을 통해 풍요로운 농촌에서의 흥취와 풍류를 강조 - 관념적 표현과 한자어를 배제한 순우리말을 사용하여, 구체적·사실적으로 묘사함 화자 : 농촌에서 풍류를 즐기는 이 시적 상황 : 가을날 풍요로운 농촌에서 풍류를 즐기고 있다. 정서 : 즐거움, 흥취 태도 : 풍류적, 낭만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