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다시는 자살을 꿈꾸지 않으리라 - 카뮈 삶에 대한 절망이 없이는 삶에 대한 사랑도 없다······ 이렇게 나는 이 글 속에서 제법 장엄스럽게 썼다. 그 당시 진정한 의미에서 절망의 시기를 지내지 못했기에 내가 한 말이 얼마나 옳은가를 미처 깨닫지 못했다. 그러나 그 뒤 그러한 시기가 닥쳐와 내 마음 속의 모든 것을 파괴당하고, 다만 절망 깊숙이 숨어있는 들끓는 삶에의 의욕이 맹렬히 솟구쳤을 때, 절망 뒤의 굶주린 열정을 진지하게 인식하기 시작했다. ㅡ 카뮈, 다시는 자살을 꿈꾸지 않으리라 中 그 누구도 우리의 인생을 몇 번의 실패로 설명할 수 없다. 실패는 시작과 과정을 설명할 수는 있을지언정, 그것을 딛고 일어서는 의지는 결코 설명해 낼 수 없다. 우리는 살면서 어려운 상황을 많이 만난다. 그럴 때마다 이것이 내 삶에서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중국 철학의 인간 개념 연구 -인식 방법의 전환을 중심으로- ㅡ 김원열 (중국의) 전통철학은 역사적 연원이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인간에 대한 규정은 특정 학파와 개별 사상가에 따라 매우 다양하게 이루어진다. 그러나 그 다양성에도 불구하고 중국 전통철학에서 인간 규정은 공통된 체계와 방법을 바탕으로 한다. 예를 들어 '인간과 자연'의 교섭 관계에서 양자의 동일성에 기반을 둔 '자연적' 또는 '본성적' 인간 규정이 바로 그것이다. 이러한 중국의 전통적인 사유체계는 인간의 자연적 측면만을 강조한 논리로, 인간과 다른 존재들의 특성을 철저히 규명하지 못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중국 전통적인 사유체계는 '인간과 인간'의 관계에서도 성왕을 진리의 기준으로 한 연역적 방법의 논리이기 때문에 역사적으로 볼 때 일반 백성들은 오직 성왕을 위해서만 즉자적으로 존재할 뿐이다. 왜냐하면 전통철..
갈등하는 美의 화신, 수로부인 - 이승수 노인은 수로의 미적 욕구를 해결해준다. 이런 면에서 노인은 로맨스의 주인공이 되기에 충분하다. 해룡은 노인과는 성격이 다른 구애자이다. 그는 물리적인 힘을 행사하여 수로의 몸을 취한다. 그러나 이는 사회적으로(윤리적으로) 용납되기 힘들며, 그 사랑이 지속되기도 힘들다. (일방적이고, 강제적이기 때문에) 이때 노인은 여론의 힘(이것이 사회이고 윤리이다)을 움직여 수로를 곤경에서 구해준다. 아니 순정공을 도와준다. ···(중략)··· 이렇게 본다면 이 이야기는 수로라는 한 여인을 사이에 둔 세 남자의 이야기를 다룬 로맨스이고, 확대하면 세상의 남녀관계를 세 유형으로 상징화한 이야기다. 세 관계를 도식화해보면, 순정공과 수로는 관습적 관계, 노인과 수로는 정신적 관계, 해룡과 수로는 본능적 관계가 된다. 세 ..
채근담 - 홍자성 風來疎竹 風過而竹不留聲雁度寒潭 雁去而潭不留影故君子 事來而心始現 事去而心隨空 무성한 대나무밭에 바람이 불어도, 바람이 지나간 대밭에 소리는 머물러 있지 않는다.기러기가 차가운 연못을 건너가도, 기러기가 지나간 연못에 그림자는 머물러 있지 않는다.군자는 일이 생기면 마음이 비로소 나타나고, 일이 없어지면 마음을 비워야 하는 것이다. ㅡ 홍자성, 채근담 中 상황에 대한 집착 역시, 타인에 대한 집착만큼이나 눈살을 찌푸리게 한다. 우리는 무언가를 노력, 경쟁, 쟁취로 설명하는 데 익숙하다.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로 삶을 살게 하는 장점이 있지만, 반드시 그것이 옳다고 보긴 어렵다. 나의 손을 떠난 것은 보낼 줄 알아야 한다. 최선을 다했던 시험결과가 그렇고, 사랑했던 사람과의 이별이 그렇다. 운명론적 세계관은..
수오재기 - 정약용 수오재(守吾齋)라는 것은 큰 형님이 그 집에 붙인 이름이다. 나는 처음에 의심하며 말하기를, “사물이 나와 굳게 맺어져 있어 서로 떨어질 수 없는 것으로는 나[吾]보다 절실한 것이 없으니, 비록 지키지 않은들 어디로 갈 것인가. 이상한 이름이다.”하였다. 내가 장기로 귀양 온 이후 홀로 지내면서 정밀하게 생각해 보았더니 하루는 갑자기 이런 의문점에 대해 해답을 얻을 수 있었다. - 정약용, 수오재기 中 삶이 단속적 순간을 맞이했을 때 우리는 추진력을 잃는다. 단속적 순간은 우리에게 벽으로 느껴진다. '나'라는 사람을 규정하고 그 한계를 긋는 벽. 우리는 그 벽 안에서 살기를 강요받는다. 주제를 알아라. 분수를 알아라. 딴 거 해라. 니가 그걸 어떻게 하냐. 수많은 편견·조롱·비아냥 등은 더욱더 그 벽을 ..
눈길 - 고은 눈길 - 고은 이제* 바라보노라.지난 것*이 다 덮여 있는 눈길*을.온 겨울*을 떠돌고* 와여기 있는 낯선 지역*을 바라보노라. * 고뇌와 방황의 시기를 지난 뒤 얻게 된 포용과 평화 (1~4행)나의 마음 속에 처음으로*눈 내리는 풍경*세상은 지금 묵념*의 가장자리지나온 어느 나라에도 없었던설레이는 평화*로서 덮이노라. * 내면의 고요와 평화 (5~9행)바라보노라 온갖 것*의보이지 않는 움직임*을.눈 내리는 하늘*은 무엇인가.내리는 눈 사이로귀 기울여 들리나니 대지의 고백*.나는 처음으로* 귀를 가졌노라. * 정화와 포용이 가져오는 생명력과 깨달음 (10~15행)나의 마음은 밖에서는 눈길안에서는 어둠*이노라.온 겨울의 누리 떠돌다가*이제 와 위대한 적막*을 지킴으로써쌓이는 눈 더미* 앞에나의 마음은 어둠..
우리가 물이 되어 -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만난다면 가문 어느 집*에선들 좋아하지 않으랴.우리가 키 큰 나무*와 함께 서서우르르 우르르 비 오는 소리*로 흐른다면. * 메마름과 삭막함의 극복에 대한 소망 * 물 : 합일의 매개체. 메마름과 삭막함을 해소할 수 있는 생명력 * 가문 어느 집 : 메마른 현대 사회의 모습 * 키 큰 나무 : 건강한 생명력 * 메마름과 삭막함을 해소하는 소리 흐르고 흘러서 저물녘*엔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에 누워죽은 나무 뿌리*를 적시기도 한다면. → 황폐함의 극복아아, 아직 처녀인부끄러운 바다*에 닿는다면. * 황폐함의 극복과 충만한 생명력에 대한 갈망 * 저물녘 : 성찰의 시간 * 저 혼자 깊어지는 강물 :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성찰 * 죽은 나무 뿌리 : 불모와 죽..
이슬 - 이시영 이슬 - 이시영 이슬은 한밤*에 내려 → 아무도 모를 때. 고독과 외로움초록 잎사귀를 한없이 물들인다 → 끝없는 시련과 고통두 귀를 쭉 늘어뜨리고 생각에 잠긴 잎사귀는 → 시련과 고통을 받아들이는 자세자기를 물들이는 것이 무엇인지도 모르다가 → 고통과 시련이 가져올 결실에 대한 인식의 부재아침 햇살*에 반짝 정신이 들면서 → 깨달음의 계기그것이 고통의 밝은 이슬이었음을 안다 → 결실에 대한 깨달음 * 고통과 시련을 겪은 뒤에 맺게 되는 결실에 대한 깨달음 * 한밤 : 한밤중. 깊은 밤. * 아침 햇살 : 한밤의 어둠을 몰아내는 존재. 광명의 존재. 결실을 비춰주는 존재 갈래 : 자유시, 서정시 성격 : 상징적, 비유적 주제 : 시련과 고통이 가져오는 결실에 대한 깨달음 표현상의 특징 : - 의인법을 통해..